엔비디아 젠슨 황, '로봇·자율주행' 새로운 장 연다
CES 기조연설서 물리적 AI 학습에 사용될 '코스모스' 공개
"로봇의 '챗GPT 모먼트' 다가와"…도요타와 협업도 발표
(라스베이거스=연합인포맥스) 김학성 기자 = 엔비디아의 젠슨 황 최고경영자(CEO)가 인공지능(AI) 챗봇을 넘어 로봇과 자율주행 개발의 새로운 장을 연다.
엔비디아를 한때 세계 시가총액 1위 기업으로 만들어 준 일등 공신인 데이터센터를 넘어 'AI의 다음 전선'으로 꼽히는 물리적 AI 사업에도 박차를 가하는 모습이다.
황 CEO는 6일(현지시간) 미국 라스베이거스 만달레이베이에서 진행한 'CES 2025' 기조연설에서 로봇과 자율주행 학습에 사용할 수 있는 파운데이션 모델 '코스모스'를 공개했다.
[촬영: 김학성]
그는 모델의 성능이 데이터 이용 가능성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지만, 현실 세계의 데이터는 수집과 분류에 큰 비용이 든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코스모스가 로봇과 자율주행을 비롯한 물리적 AI를 비용 효율적으로 개발하는 데 사용되는 플랫폼이라고 소개했다.
사용자로부터 텍스트나 이미지로 지시를 받은 코스모스는 현실 세계와 매우 유사한 영상을 만들어낸다. 개발자는 이 영상을 로봇과 자율주행 학습에 사용할 수 있다.
개발자는 실제 물리 법칙에 기반한 영상을 1인칭 시점 등 다양한 조건으로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날 기조연설에서 코스모스가 만들어 낸 영상이 여럿 상영됐는데, 실제 세계를 고성능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이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수준이 높았다.
[출처: 엔비디아]
황 CEO는 코스모스가 "세계 최초의 '월드 파운데이션 모델(world foundation model)'"이라면서 "로봇의 '챗GPT 모먼트'가 다가왔다"고 밝혔다.
그는 이것이 제조업을 소프트웨어 중심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제조업에 더 많은 자동화를 가져올 것이라면서 "미래에는 모든 공장이 진짜 공장과 똑같이 작동하는 디지털 트윈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코스모스는 오픈 라이선스로 공개된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또 황 CEO는 이날 자율주행이 매우 큰 산업이 될 것이라면서 도요타와의 협업도 발표했다.
그는 웨이모와 테슬라의 성공을 언급하면서 자율주행이 마침내 현실 세계에 다가오고 있다고 말했다.
이 밖에도 황 CEO는 AI 에이전트가 새로운 디지털 노동력이 될 것이라면서 관련 시장이 수조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예시로 그는 복잡한 문서 파일을 첨부하자 이를 이해하기 쉬운 내용의 팟캐스트로 생성해내는 AI 에이전트를 시연했다.
아울러 황 CEO는 이날 게임용 그래픽 카드 지포스 RTX 50 시리즈도 공개했다.
이번에 새로 공개한 RTX 5070이 앞선 세대의 RTX 4090과 성능은 같지만 가격은 3분의 1 수준이라고 황 CEO가 밝히자 관객들 사이에서는 환호가 터져 나왔다.
그는 이달 중 출시할 RTX 50 시리즈에 마이크론의 그래픽 D램(GDDR)이 사용된다고 언급했다.
엔비디아의 개인용 AI 슈퍼컴퓨터 프로젝트 '디지츠(DIGITS)'도 이날 공개됐다. 이 컴퓨터는 블랙웰 칩이 탑재된다.
이날 황 CEO의 기조연설은 1만명 이상의 관람객이 몰리며 AI 시대를 선도하는 그의 인기를 짐작하게 했다.
행사장인 만달레이베이에는 기조연설이 시작하기 2~3시간 전부터 입장하려는 사람들로 수백미터가 넘는 긴 줄이 늘어섰다.
이날 기준 엔비디아의 시가총액은 3조6천595만달러로 애플(3조7천34억달러)에 이은 세계 2위다.
[촬영: 김학성]
hskim@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