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값, 계속 오를까요? 하반기부터 내년까지의 흐름은?

KB부동산TV
25.07.15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최근 치솟는 집값을 두고, 많은 분이 가장 궁금해하는 건 ‘언제까지 오를까?’일 텐데요. KB부동산이 송희구 작가와 함께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초까지 부동산 시장 흐름을 짚어보고, 구독자들의 실질적인 부동산 고민을 함께 나눠봤습니다.

올해 하반기부터 내년 상반기 집값 전망

송희구 작가가 25년 가을, 26년 봄 중 언제 '집값'이 더 높을까요라는 질문에 답변을 하고 있는 모습이다.

먼저, 집값 흐름에 대한 질문부터 던졌습니다. 과연 지금보다 더 오를까요, 아니면 조정이 올까요? 이에 송 작가는 최근 몇 년간 반복되고 있는 패턴을 언급합니다. “보통 여름까지는 시장이 뜨거웠다가 가을, 겨울엔 주춤하고, 이듬해 봄 다시 살아나는 흐름이 반복됐어요.”

올해도 비슷한 흐름이 이어진다면, 과열 국면이 가을쯤에는 잠시 멈췄다가 내년 봄 다시 반등할 수 있다는 전망입니다. 다만, 변수가 있다고 하는데요.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등 통화량을 늘리는 정책이 현실화된다면, 지금보다 집값이 더 높아질 가능성도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지금 갈아타기, 해도 될까요?

송희구 작가가 보유한 자산이 '비선호 자산'이라면 지금이라도 '갈아타기'를 추천한다고 설명하는 모습이다.

지금처럼 시장이 과열되고 있는 상황에서 ‘갈아타기’는 여전히 유효한 전략일까요? 이에 대해 송희구 작가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합니다.

“내가 보유한 자산이 비선호 지역이나 비인기 매물이라면, 지금이라도 갈아타는 것이 맞습니다.” 라고 말합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선호 지역과 비선호 지역의 격차는 시간이 갈수록 더 벌어질 가능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특히 비선호 지역의 경우, 일시적으로 가격이 오를 수는 있어도 상승 폭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기대 수익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고 설명합니다.

결국, 인기 지역 중심의 국지적 상승이 반복되는 현상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으므로 갈아탈 수 있다면 지금이 기회일 수 있다는 조언입니다. 그렇다면 먼저 팔고 사야 할까요, 아니면 먼저 사고 나중에 팔아도 될까요? 이에 대해서는 보수적으로 접근할 것을 권합니다.

송 작가는 '내 집이 쉽게 팔리는 집이 아니라면, 먼저 매도 후 움직이는 게 안전'하다고 합니다. 하지만 만약 보유한 집이 수요가 많은 매물이라면, 선계약 후 매도 충분히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은퇴를 앞둔 지금

상급지 갈아타기 괜찮을까요?

생애 첫 주택으로 광명역 유플래닛 데시앙 30평대 아파트를 보유 중인 '외벌이' 가정입니다. 최근 '부동산 시장'을 보며 '상급지'로 갈아타고 싶은 욕심이 생겼지만, 현재 광명은 공급이 많아 매매가와 전세가가 눌려 있는 상황이라 매도를 망설이고 있습니다라는 사연을 편지형식으로 구성했다.

<아낌없이 주는 희구> 앞으로 사연이 도착했습니다. 광명역 인근 아파트를 보유한 외벌이 가정이 상급지 갈아타기를 고민 중입니다.

약 3억 원의 자금 여력을 바탕으로 광명을 매도해 상급지로 옮길지, 일시적 2주택으로 상급지를 먼저 매수하고, 추후 비과세 조건에 맞춰 광명을 매도할지 사이에서 고민 중입니다. 남편의 은퇴 시점도 가까워지며 자산 재정비에 대한 고민이 깊어졌다고 합니다.

KB부동산 앱을 통해 유플래닛광명역데시앙 '아파트단지'의 '시세', '실거래가', 타입, 위치 등 세부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내용이다.

이에 송희구 작가는 지금 3억 원 규모로 갈아타기 전략은 아쉬움이 남을 수 있다고 말합니다. 취득세, 양도세 등을 고려하면 실질 자산 증대 효과가 크지 않다는 점에서입니다. 오히려 이럴 경우, 기존 광명 아파트는 보유한 채 월세로 거주지를 이동하고, 전세를 낀 상급지 매물을 매수해 자산을 분산하는 방법이 현실적이라고 조언합니다.

실거주가 꼭 필요하다면 현재 집에 거주하면서 자금을 더 모은 뒤 상급지로 진입하는 것이 낫고, 은퇴까지 5년 이하라면 2주택 보유 후 자산 이원화를 통해 퇴직 이후 월세 수익과 연금이라는 안정적인 흐름을 만들 수 있다고 봅니다.

특히 지금 살고 있는 집은 향후 호재가 예정돼 있기 때문에 지금 시점에서 성급히 처분하기보다는 보유 전략으로 안정성과 수익성을 동시에 챙길 수 있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보유 자산에 맞는 추천 매물이 궁금하신가요? 상황별 자산 활용 전략이 알고 싶으시다면? KB부동산TV <아낌없이 주는 희구> 3편과 4편에서 다양한 갈아타기 시나리오부터 자산을 극대화하는 현실적인 방법까지 확인해 보세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