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정은 정권 등장 당시 3대 세습에 대한 우려와 젊은 지도자의 등장에 따른 체제 변화에 대한 기대가 교차했으나 최근 체제의 경직성이 강화되고 있음
○ 김정은 정권 등장 이후 ‘사회주의기업책임관리제’ 도입²⁰ , ‘경공업(소비재) 상품의 국산화’ 추진²¹ ‘이원은행제도’의 도입²² 등 나름의 경제 개선 조치를 단행했지만 장마당세대의 장마당 활동과 한류 확산이 사상 해이로 이어지고 있음을 우려하며 통제기조로 전환하고 있음
- 2020년 코로나19 팬데믹이 시작되자 방역을 명분으로 북한당국은 국경을 봉쇄하고 장마당 활동을 통제했는데, 그 여파로 2022~2023년 북ㆍ중 국경지역에 식량난이 심화됨²³
○ 2019년 하노이 미북회담 결렬 이후 북한당국은 남북교류협력의 중단을 천명했으며 «반동사상문화배격법»(2020) 등을 통한 사법통제로 북한주민의 외부 문화 접촉 차단에 집중하고 있음
- 북한은 대북전단지 살포중단 압박을 통해 한국으로부터의 정보 유입을 차단했으며 2020년 6월에는 남북공동연락사무소를 폭파하여 한국에 대한 불편한 심경을 드러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