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디지털 전환의 가속과 산업 변화

산업계의 디지털 전환 확산과 주요 관심 산업
시리즈 총 6화
2023.02.07

읽는시간 4

0

디지털 전환의 흐름을 통해 시스템의 변화가 촉발

  • 코로나 이후 비대면, 온택트가 사회 전반에 자연스럽게 확산되고 생산과 소비, 수요·공급의 시스템에서 디지털화의 수용이 늘어남

    – 디지털 전환은 다양한 정의를 가지고 있으나, 생산·유통 등 경제생활 전반이 IT 기술과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루어지는 체제로 탈바꿈하는 과정을 의미

    –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 생산 및 소비, 유통방식 등이 비대면 중심으로 전환되는 경험을 거치면서 시기와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디지털 전환은 필수불가결한 분야로 인식

    – 이와 같은 변화는 산업의 혁신속도를 더욱 촉발시키며 전 산업영역에서 지능화 및 연결성 강화·자동화를 통한 디지털 전환이 핵심

전세계 산업별 디지털 전환 시장규모 전망

전세계 산업별 '디지털 전환' '시장규모' 전망 그래프.

자료: Markets and Markets(2021)

주요 산업별 디지털 전환

주요 산업별 '디지털 전환'에 대한 표.

자료: 대신증권 리서치센터, KB경영연구소 재구성

디지털 시대의 도래는 국가 전략 및 기업위상에 점진적인 영향

  • 디지털 전환이 경제 및 산업 활력의 핵심대안으로 부상, 세계 주요국은 관련 정책 마련과 산업육성 및 인프라 구축 투자를 진행

    – (미국) ‘위대한 재건’을 주요 경제정책으로 선정하고 전기차, 인터넷망, 전력망 등과 관련된 디지털 인프라 투자계획을 발표

    – (중국) 5G,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 7대 주요 분야의 대규모 투자 계획이 포함된 ‘신 인프라 건설’ 정책 추진

    – (EU) ‘2030 디지털 compass’를 통해 인력, 역량 및 인프라, 기업, 공공 서비스 부문에서 디지털 전환을 구체적 목표로 제시

  • 기업의 시가총액 상위권 지위는 지난 10년간 정유 및 금융 기업에서 IT·디지털 기업으로 변화

    – 2010년에는 시총 상위 5개 중 비 IT기업이 3개였지만, 지난 10년간 디지털 산업의 부상으로 2022년 11월에는 IT·디지털 관련 기업이 4개를 차지

주요국 디지털 정책 동향

주요 국가들의 '디지털 정책' 동향 표.

자료: 관련자료종합

글로벌 주요 IT·디지털 기업 시가총액 변화

글로벌 주요 'IT 기업'과 '디지털 기업'들의 '시가총액' 변화 그래프.

자료: marketcap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 증가

  • 디지털 전환의 움직임이 본격화 되면서 국내 기업들의 디지털 기술 활용 증가 추세

    – 국내 기업의 환경은 산업데이터 활용 어려움, 전문인력 및 설비 부족 등 디지털 전환 도입이 더딘 상황이었으나, 생산성 향상, 신제품 개발, 수익모델 발굴 등 비즈니스 프로세스 경쟁력 강화 중요성을 인식하고 디지털 기술 활용 수준을 높여가는 중

    – 국내 산업의 디지털 기술 개발 및 활용 비중은 2017년 8.2%에서 2020년 13.2%로 상승 추세

    – 2017년 ~ 2020년 중 클라우드 기술의 활용 비중은 13.9%p, 인공지능 9.3%p, 빅데이터 3.8%p 상승. 반면, 모바일(-22.7%p), 블록체인(-2.3%p), 사물인터넷(-1.6%p) 등의 비중은 하락

디지털 기술별 개발 및 활용 비중

'디지털 기술'별 개발 및 활용의 비중 그래프.

자료: 통계청(2020년 기준)

기업 형태별 디지털 기술 개발 및 활용 비중

기업 형태별 '디지털 기술' 개발 및 활용 비중에 대한 그래프.

자료: 통계청(2020년 기준)

최근 글로벌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나, 디지털 전환은 꾸준한 진행을 전망

  • 글로벌 경기침체, 환율 및 금리 인상, 우·러 전쟁 등 불확실성 요소가 나타나며 기업들의 고용 및 투자에도 영향

    – 팬데믹 이후 심화된 공급난, 원유 및 가스 등 에너지 가격 급등, 주요국의 긴축 행보에 따른 글로벌 경기 위축, 중국 경기 둔화 등 불확실성 요소가 발생

    – 또한, 코로나를 거치며 급격히 사업을 확장했던 디지털 기업들이 경기침체로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인력 및 사업 구조조정 진행

  • 생산성을 높여서 인플레이션 완화와 경제성장 달성을 위해 디지털 전환이 더욱 가속화 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

    – 각 산업에서 디지털 전환을 높이고 제조·서비스업의 노동 생산성을 높이는 것이 성장의 돌파구가 될 것이라는 관측도 제기

    – 글로벌 디지털 전환 시장은 연평균 14.9%의 성장률을 보이는 등 지속적인 성장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

글로벌 디지털 전환 시장규모 전망

글로벌 '디지털 전환'의 '시장규모'에 대한 전망 그래프.

자료: Precedence Research

글로벌 기업대상 산업별 디지털 성숙도 지표

글로벌 기업 대상으로 한 산업별 '디지털 성숙도' 지표 그래프.

자료: Deloitte

심경석

KB경영연구소

심경석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