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화. 다가오는 녹색해운항로 시대

친환경 선박 연료와 녹색해운항로 경쟁
시리즈 총 5화
2023.12.06

읽는시간 4

0

해상운송의 전과정에서의 탄소중립을 실현하기 위한 녹색해운항로 시대 개막

  • 미국ㆍ영국 등 22개국은 2021년 11월 열린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에서 녹색해운항로(Green Shipping Corridors) 구축을 위해 클라이드뱅크 선언(Clydebank Declaration)을 하고 2026년까지 최소 6개의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하고 2030년까지 확충하기로 합의
 
  • 녹색해운항로란 해상 운송의 모든 부분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선박의 탈탄소뿐 아니라 항만의 친환경 선박 연료 벙커링 시설, 전기화와 같은 다양한 친환경기술이 적용되는 인프라 구축을 총칭

     - 사전적 의미의 친환경선박이 운항되는 단순한 ‘항로’ 개설의 의미가 아님에 유의
 
  • 혹은 일정 항로(노선)을 오가는 친환경 선박을 위한 각 항구의 관련 인프라 구성(친환경 연료 벙커링 시설, 전기 인프라 등)을 완료해 해당 항로의 선박들이 항구를 드나드는데 있어서 모든 과정의 친환경화를 추구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솔루션

     - 친환경 선박만으로는 해상 운송의 모든 과정에서 탈탄소화를 실현할 수 없음에 따라 항구와 관련 연료 인프라까지 범위가 확장된 개념이라 볼 수 있음

자국의 허브항만 지위를 유지하기 위한 주요 국가들의 녹색해운항로 경쟁 본격화

  • 일정 항로를 운항하는 친환경 선박을 위한 친환경 시설을 항구에 부분적으로 구축하고 단계적으로 녹색해운항로 노선을 확대해 나갈 경우 관련 시설도 늘어나 해당 항구는 결국 탈탄소 항구, 친환경 선박이 운항되는 주요 기점으로 거듭날 수 있음
 
  • 이에 글로벌 주요 허브항만의 탈탄소화 관련 인프라 구축 유무에 따라 친환경 선박이 기항하는 노선은 자연스럽게 재편될 수 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

     - 머스크, MSC, CMA-CGM등의 글로벌 주요 컨테이너선사들의 경우 향후 공격적으로 친환경 연료를 기반으로 한 선대를 확보할 예정으로 항구에 친환경 연료 관련 인프라가 없을 경우 입항이 어려워질 수 있으며 관련 시설이 미흡할 경우 체선이 발생해 출항 시간이 길어지고 이 같은 항구는 운항을 기피하게 되는 등 문제 발생 가능
 
  • 이로 인해 주요 선진국을 중심으로 자국의 허브항만 지위를 상실하지 않기 위해 녹색해운항로 구축의 노력이 본격화 되고 있음
 
  • 한국도 녹색해운항로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여 향후 10년 이내 △무탄소 연료 생산 및 벙커링 시설 등 인프라 구축 △저탄소ㆍ무탄소 선박 실증 및 도입 △녹색해운항로 개발(한국-미국, 한국-호주 등)과 무탄소 선박 투입을 목표로 친환경 정책을 진행 중

     - 한국과 미국 정부 주도하에 추진되고 있는 ‘한ㆍ미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은 부산항에서 출발하여 미국 시애틀 타코마항까지 약 1만 2,000km 거리를 잇는 항로로 2027년부터 본격적으로 운항이 시작될 예정

본격화되는 녹색해운항로 연결

한국과 미국 정부 주도하에 추진되고 있는 한ㆍ미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 은 부 산항 에서 출발하여 미국 시애틀 타코마항까지 약 1 만 2,000km 거리 를 잇는 항로로 2027 년부터 본격적으로 운 항이 시작될 예정이다.

자료: 해양수산부

친환경 연료·항구 등 관련 인프라 구축은 친환경 선박과 함께 녹색해운항로의 핵심

  • 녹색해운항로를 위해서는 친환경 선박뿐 아니라 항구·연료 등 관련 인프라가 갖춰져야하며 글로벌 주요 항만들은 이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음
     - 녹색해운항로는 친환경 선박·항만·(친환경)연료의 교집합으로 형성

 

  • 이에 항만을 중심으로 한 저탄소 연료 공급 시설, 선박 연료전지 충전 시설 등의 친환경 에너지 관련 시설 구축 노력이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전개될 것으로 예상
     - LNG, 메탄올, 수소, 암모니아 등 친환경 연료의 원활한 수급을 위한 밸류체인 형성은 필수

 

  • 국내의 경우 ‘친환경 선박연료 항만 내 공급 실증 사업’을 추진중으로 선박연료 공급기업과 수급 선사에게는 선박 입출항료와 접안료, 정박료를 50%(항차 당 최대 5,000만원) 혜택을, 항만시설 운영자에게는 항만시설 전용사용료의 20%를 감면(실증 1회당 최대 1억원)하는 혜택을 부여할 예정

녹색해운항로는 항만·연료·선박의 교집합

녹색해운항로는 친환경 선박  항만  친환경 연료의 교집합으로 형성된다.

자료: Admiralty Maritime Data Solutions

녹색해운항로 구성 요소

녹색해운항로를 위해서는 친환경 선박뿐 아니라 항구연료 등 관련 인프라가 갖춰져야 하며 글로벌 주요 항만들은 이를 구축하기 위한 노력을 본격화하고 있다.

자료: Admiralty Maritime Data Solutions

녹색해운항로 구축은 관련 기업들에게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기회 제공 가능

  • 국내에는 현재 다양한 기업들이 녹색해운항로 밸류체인 생태계에 포진 중

     - [선박] 현대중공업(친환경 선박 건조 및 수소 밸류체인 구축), 한화오션(친환경 선박건조 및 암모니아 밸류체인 구축), 삼성중공업(친환경 선박 건조), HMM(메탄올 추진선 운영 예정), 롯데글로벌로지스(암모니아 추진선 운영 예정) 등
     
     - [항구] 삼성물산(수소항만구축, 태양광), 현대건설·GS건설·포스코건설(항만건설), 현대일렉트릭(항만-육상 전원공급장치), 두산에너빌리티(항만 크레인, 해상풍력), 두산퓨얼셀(연료전지), 한화건설(풍력, 연료전지) 등

     - [연료] GS칼텍스(바이오연료유), 롯데정밀화학(암모니아), SK에너지(저유황연료유), OCI글로벌(메탄올, 수소), 포스코(LNG, 메탄올, 암모니아), SK가스(LNG), 현대오일뱅크(수소), 에스오일(수소, 바이오연료유) 등
 
  • 넓은 범위의 녹색해운항로는 선박에 사용되는 연료 생산의 방법부터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물건을 인도하는 육상 수송에 이르기까지 운송과 관련된 모든 부분을 아우르는 탄소중립을 지향하고 있어 관련 밸류체인 생태계는 향후 더욱 확장될 전망

연료 생산부터 육지 배송까지 모두 포함하는 넓은 범위의 녹색해운항로

넓은 범위의 녹색해운항로는 선박에 사용되는 연료 생산의 방법부터 최종적으로 소비자에게 물건을 인도하는 육상 수송에 이르기까지 운송과 관련된 모든 부분을 아우르는 탄소중립을 지향하고 있어 관련 밸류체인 생태계는 향후 더욱 확장될 전망이다.

자료: Washington Maritime Blue

유럽은 지난 3월, 2024년부터 단계적으로 선박에 탄소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하고 미국도 관련 법안 발의에 나서는 등 최근 들어 녹색해운항로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

  • 국제해사기구에서 ‘2050년 해운 탄소중립’을 목표로 제시했으나 국제해사기구는 UN산하기구로 실질적 제재 수단이 없다는 한계가 존재
 
  • 그러나 2024년부터 이를 준수하기 위한 규제가 EU에서 시행될 예정이며, 미국 또한온실가스 배출량에 가격을 부과하는 조치를 도입하는 법안을 발의하면서 향후 글로벌해상 교역의 주축인 유럽과 미국을 중심으로 본격적인 제재가 이루어질 전망

     - 유럽 의회는 지난 3월, 선박 연료 자체에 탄소 배출을 제약하는 해상 연료 기준(Fuel EU Maritime) 이니셔티브에 최종 합의했는데, 이 기준은 이산화탄소뿐 아니라 메탄,이산화질소 등 모든 온실가스 감축을 목표로 함

     - 유럽의 선박 온실가스(이산화탄소 뿐 아니라 메탄, 이산화질소 등 포함) 감축량 목표는2025년 2%, 2030년 6%, 2035년 14.5%, 2040년 31%, 2050년 80%

     - 미국은 탄소 1톤당 150달러를 부과하는 국제해양오염책임법(International Maritime Pollution Accountability Act)를 발의 중

온실가스 저감을 위한 다양한 규제(국제해사기구, EU, 미국)

미국은 탄소 1 톤당 150 달러를 부과하는 국제해양오염책임법 (International Maritime Pollution Accountability Act) 를 발의 중이다.

자료: 한국선급(KR)

단계적으로 강화될 온실가스 규제들은 녹색해운항로 시대를 더욱 앞당길 전망

  • 글로벌 교역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유럽과 미국 노선에 온실가스 관련 직접적인 규제가 적용될 경우 대부분의 선사들이 영향을 받을 것으로 예상
 
  • 그러나 현재 친환경 선박 도입 초기 단계인 글로벌 해운사들은 탄소 배출 규제에 노출될 수밖에 없는 상황. 이에 일정 기간 동안 탄소배출권 구매로 관련 제재에 대응할 전망
 
  • 예컨대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탄소배출권거래제도[ETS(Emissions Trading System)]를 시행하는 EU의 경우 항만을 드나드는 선박은 2024년 기준 배출량의 40%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구매해야 함
 
  • 반면 2025년에는 배출량의 70%, 2026년 100%로 탄소배출권 구매 비율을 대폭 확대해 2026년 이후 해운사 부담이 급증할 전망
 
  • 이와 같이 향후 탄소배출권 구매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세계 각국의 녹색해운항로를 위한 인프라 구축 니즈가 늘어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예상

     - 세계은행(World Bank)에 따르면 기존 선박을 기준으로 해운업에 탄소세가 100% 부과된다면 연간 약 500~600억 달러의 세금이 청구될 것으로 추정

EU 선박 탄소배출권거래제(ETS) 타임라인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탄소배출권거래제도[ETS(Emissions Trading System)]를 시행하는 EU의 경우 항만을 드나드는 선박은 2024년 기준 배출량의 40%에 해당하는 배출권을 구매해야 한다.

자료: 노르웨이선급협회

한국은 녹색해운항로를 위한 첫걸음으로 ‘국적 선박의 친환경 선박 전환’을 본격화

  • 2050년 해운산업 탄소중립을 위해 녹색해운항로 확산은 필수적이며 친환경 선대 보유는 가장 먼저 실행되어야 할 과제
 
  • 한국은 국적 선사들의 보유 선박을 저탄소ㆍ무탄소 연료 선박으로 전환해 국제 규제에 대응하고 해운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
 
  • 그 일환으로 정부는 국제 규제 대상인 5천 톤 이상 외항선 867척을 대상으로 노후선대체 건조 시 지원을 강화해 친환경 연료 선박 전환을 유도
 
  • 특히 내년 상반기 중 독자적인 탄소부담금제도를 도입하는 EU 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2030년까지 유럽ㆍ미주 정기 선대 60%(118척)를 우선적으로 친환경 선박으로 전환할 예정
    - 선박 에너지 효율 개선과 친환경 연료(메탄올, 바이오) 사용을 병행할 전망
 
  • 또한 2050년까지 노후한 외항 선박을 100% 친환경 선박으로 대체하는 방안을 목표로 중장기적인 외항 선대의 친환경 전환 로드맵도 설정하여 추진할 계획
 
  • 신조선의 경우 2030년까지는 메탄올, LNG 등 친환경 연료를 활용할 수 있는 이중연료선박으로 전환하고, 이후 암모니아ㆍ수소 선박을 순차적으로 도입할 예정. 이는 자연스럽게 국내 항만의 녹색해운항로 관련 친환경 인프라 구축을 유도할 것으로 예상

외항 선대 친환경 전환 로드맵

한국은 국적 선사들의 보유 선박을 저탄소ㆍ무탄소 연료 선박으로 전환해 국제 규제에 대응하고 해운산업의 미래 경쟁력을 확보해 나갈 예정이다.

자료: 해양수산부

장경석

KB경영연구소

장경석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