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화. 연착륙과 경착륙의 기준과 쟁점

주택 시장 연착륙 가능성 점검
시리즈 총 11화
2023.02.21

읽는시간 4

0

[시장 현황] 거래 절벽과 함께 주택가격 하락세 확대

주택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2021년 상승률이 높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하락

  • 주택매매가격은 2021년 연간 약 15% 상승하였으나, 2022년 하반기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연간 1.83% 하락
  • 수도권에서는 인천, 비수도권에서는 대구와 대전에서 큰 하락폭을 기록하였으며, 전국적으로 하락폭이 점차 확대

주택매매거래량은 수도권 중심으로 급감, 5개광역시 역시 거래시장 침체 뚜렷

  • 특히 2022년 수도권의 월평균 주택매매거래량은 약 2.1만호로 2020년(월평균 4.1만호) 대비 절반 수준으로 감소
  • 기타지방은 2021년 말까지 주택매매거래량이 증가. 2022년 이후 감소하긴 하였으나, 감소폭은 수도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편

지역별 주택매매가격 변동률 추이

주택매매가격 하락세가 지속되고 있으며 , 2021 년 상승률이 높았던 지역을 중심으로 크게 하락하고 있다.

자료: KB국민은행

주요지역 연간 주택매매가격 변동률

주택매매가격은 2021 년 연간 약 15% 상승하였으나 , 2022 년 하반기 이후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연간 1.83% 하락함.

자료: KB국민은행

지역별 주택매매거래 추이

주택매매거래량은 수도권 중심으로 급감 , 5 개 광역시 역시 거래시장 침체가 뚜렷하다.

자료: 한국부동산원

[기준 점검] ①주택시장 경착륙 우려가 시장의 최대 현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나, 과도한 불안은 경계해야

최근 거래량이 급격하게 위축되고 주요 아파트가격 하락폭이 확대되면서 주택시장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확대

  •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지표가 악화되는 가운데 급격하게 가격이 하락한 특정 단지가 언론, SNS 등 미디어를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주택경기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게 확산

일부 아파트 급락 폭이 언론 및 시장에서 과도하게 인식되면서 시장 불안감 확대

  • 아파트는 단독·연립에 비해 변동성이 크기 때문에 체감하는 가격 변동폭이 전체 주택에 비해 높음
  • 20%이상 가격이 하락한 아파트(6.5%)가 전체 주택매매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0.86%p 수준에 불과

향후 주택시장 경착륙을 막기 위한 대비는 반드시 필요하나 과도한 불안감 조성은 오히려 시장에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

  • 2022년 12월 동탄 A아파트는 전년대비 -27%, 강남권 재건축 B아파트는 -16% 하락한 반면, 동기간 전체 아파트 변동률은 -3.1% 불과
  • 2022년 12월까지 전년말 대비 가격이 20% 초과하여 하락한 아파트는 전체 아파트의 6.5%에 불과 (전체 주택의 4.2%)
  • 실제 절반의 아파트가 가격유지 또는 상승 하였고, 0~5%하락한 아파트가 21%로 상당수 아파트(63%)가 가격하락을 겪지 않음

2022년 아파트 가격 변동 분포

2022 년 12 월 동탄 A 아파트는 전년대비 27%, 강남권 재건축 B 아파트는 16% 하락한 반면 동기간 전체 아파트 변동률은 3.1% 불과하다.

자료:KB국민은행, KB경영연구소

주택유형별 매매지수 변동성

주택시장의 전반적인 지표가 악화되는 가운데 급격하게 가격이 하락한 특정 단지가 언론 , SNS 등 미디어를 중심으로 확대되면서 주택경기 경착륙에 대한 우려가 과도하게 확산됨.

자료:KB국민은행, KB경영연구소

[기준 점검] ②주택경기 위축기를 기준으로 보면 외환위기에 근접한 가격 하락시 리스크 확대

주택가격 하락을 금융시스템이 감내할 수 있느냐의 여부로 경착륙을 판단해야 하며, 금융위기 보다는 외환위기 상황이 더 적합

  • 주택가격이 단기간에 급락하면서 가계부채 부실, 건설사 부도 등 주택시장 뿐 아니라 국내 금융시스템 및 경제 전반의 급격한 위축에도 영향을 주는 경우를 경착륙으로 볼 수 있음
  • 금융위기 당시 미분양 이슈 등이 존재했으나 완만하게 가격이 하락하면서 경제적 충격은 최소화했다는 점에 경착륙으로 보기 어려움

단순히 가격 지표만으로 판단하기는 어려우나 KB주택가격지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7% 이상 하락 시 리스크가 확대될 것으로 판단

  • 일반지수와 실거래가 지수의 변동폭은 약 4배 정도 차이가 나며, 7% 이상 하락 시 실제 주택가격 하락은 30%에 육박하며 경착륙 가능성도 커지는 것으로 판단. 이는 과거 외환위기보다는 크게 낮은 수준이나 금융위기보다는 단기간 하락폭이 커질 경우를 의미

외환위기시 지역별 주택매매가격 추이

주택가격이 단기간에 급락하면서 가계부채 부실 , 건설사 부도 등 주택시장 뿐 아니라 국내 금융시스템 및 경제 전반의 급격한 위축에도 영향을 주는 경우를 경착륙으로 볼 수 있음.

자료: KB국민은행

금융위기시 지역별 주택매매가격 추이

금융위기 당시 미분양 이슈 등이 존재했으나 완만하게 가격이 하락하면서 경제적 충격은 최소화했다는 점에 경착륙으로 보기 어려움.

자료: KB국민은행

과거 주택가격 하락폭 및 미분양 물량

일반지수와 실거래가 지수의 변동폭은 약 4 배 정도 차이가 나며 , 7% 이상 하락 시 실제 주택가격 하락은 30% 에 육박하며 경착륙 가능성도 커지는 것으로 판단 . 이는 과거 외환위기보다는 크게 낮은 수준이나 금융위기보다는 단기간 하락폭이 커질 경우를 의미한다.

자료: KB국민은행

[참고] 주택가격 주요 지표 비교

주택시장에는 가격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가 존재하며 지표에 따라 변동률도 각각 다르게 나타남

  • KB국민은행은 부동산에서 중개업소 기반의 가격 데이터를 기준으로 작성된 반면, 실거래가지수는 실제 거래 건수를 기준으로 작성
  • 통계상의 샘플, 통계작성 방식에 따라 변동률이 다르며, 실거래를 기준을 작성되는 실거래가지수의 변동폭이 가장 큰 편

어떤 지표를 기준으로 시장을 설명하는지에 대한 명확한 인지가 있어야 함

  • 주로 변동기에 지수와 실거래가와의 가격 격차가 커지며,
  • 이는 소위 급매 등의 거래가 지수에 반영되는지 여부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

주로 변동기에 지수와 실거래가와의 가격 격차가 커지며, 이는 소위 급매 등의 거래가 지수에 반영되는지 여부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주요 기관별 주택가격 지표의 비교

주택시장에는 가격을 나타내는 다양한 지표가 존재하며 지표에 따라 변동률도 각각 다르게 나타남.

자료: KB국민은행, 통계청

주요 기관별 아파트 지수 변동률 추이

주로 변동기에 지수와 실거래가와의 가격 격차가 커지며, 이는 소위 급매 등의 거래가 지수에 반영되는지 여부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자료: 한국부동산원

[주요 쟁점] 과도한 우려 확산 보다는 다양한 측면에서 시장을 판단할 필요

최근의 주택시장 주요 지표가 악화되면서 다양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주택시장에 대한 우려 부각

주택가격 외에 가계부실 가능성 , 거래시장 , PF 부실 등과 관련해 전반적인 점검이 필요하다.

주택가격 외에 가계부실 가능성, 거래시장, PF 부실 등과 관련해 전반적인 점검 필요

부동산연구팀

KB경영연구소

부동산연구팀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