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AI '엑사원' 4개월만에 새 버전 공개…최고 수준 성능
'엑사원 3.5' 3종 공개…오픈소스 모델 성능 비교서 두각
LG 임직원 대상 기업용 AI 에이전트 서비스도 개시
(서울=연합인포맥스) 김학성 기자 = LG AI연구원은 지난 8월 생성형 인공지능(AI) '엑사원(EXAONE) 3.0'을 공개한 지 4개월 만에 성능을 개선한 최신 모델 '엑사원 3.5'를 오픈소스로 공개했다고 9일 밝혔다.
앞서 LG AI연구원은 엑사원 3.0을 범용 목적 경량 모델만 공개했으나, 이번 엑사원 3.5는 온디바이스용 초경량 모델(24억 파라미터)과 범용 목적 경량 모델(78억 파라미터), 고성능 모델(320억 파라미터) 등 3종을 공개했다.
[출처: ㈜LG]
LG AI연구원이 공개한 기술 보고서에 따르면 엑사원 3.5는 미국과 중국 등 글로벌 오픈소스 AI 모델과의 성능 비교에서 실제 사용성과 장문 처리 능력, 코딩, 수학 등에서 최고 수준의 성능을 보였다.
LG AI연구원은 답변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이기 위한 검색 증강 생성(RAG) 기술을 고도화하고, AI가 사용자의 질문을 단계별로 분해해 논리적으로 추론하는 기술(MSR)을 적용했다고 설명했다.
LG AI연구원은 성능 평가에 활용한 지표 20개의 개별 점수와 영역별 평균 점수도 모두 공개했다.
오픈소스로 공개한 엑사원 3.5는 3가지 모델 모두 연구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으며 누구나 모델을 확인하고 검증할 수 있다.
LG AI연구원 관계자는 "이번 오픈소스 공개가 개방형 AI 연구 생태계를 촉진하고 혁신의 속도를 높일 것"이라며 "자체 기술로 AI 모델을 개발하는 것은 국가 AI 경쟁력 제고에 기여한다는 의미가 있다"고 말했다.
[출처: ㈜LG]
아울러 LG AI연구원은 LG그룹 임직원을 대상으로 기업용 AI 에이전트인 '챗엑사원'의 정식 서비스를 개시했다.
LG 임직원은 이날부터 전용 웹페이지에 접속해 챗엑사원을 업무에 활용할 수 있다.
챗엑사원은 보안을 강화한 기업용 AI 에이전트로, 검색부터 문서 요약, 번역, 보고서 작성, 데이터 분석, 코딩까지 가능해 임직원의 업무 생산성을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최근 설립 4주년을 맞은 LG AI연구원은 내년 거대행동모델(LAM)에 기반한 AI 에이전트 개발을 목표로 한다.
LG AI연구원은 구글 클라우드와 델 테크놀로지스, 아마존웹서비스, 엔비디아, 미시간대, 토론토대 등과 파트너십을 맺으며 생태계를 확장 중이다.
LG는 구광모 회장이 미래 사업으로 점찍은 AI 분야에서 LG AI연구원을 중심으로 AI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다.
[출처: ㈜LG]
hskim@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