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오피스텔 기준시가 0.3% 하락…최고가는 '아스티 논현'
오피스텔 기준시가 2년째 내리막…상업용 건물은 0.51%↑
연합뉴스 자료사진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내년 오피스텔 기준시가가 올해보다 소폭 떨어져 2년 연속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당 기준시가가 가장 높은 오피스텔은 '아스티(ASTY) 논현', 상업용 건물은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였다.
국세청은 이런 내용의 '2025년 오피스텔 및 상업용 건물 기준시가'를 고시한다고 31일 밝혔다.
고시 대상은 전국 오피스텔과 수도권·5대 광역시·세종특별자치시에 소재하는 3천㎡ 또는 100호 이상의 구분 소유된 상업용 건물이다. 가격은 올해 9월 1일 기준으로 평가됐다.
이번 고시 물량은 오피스텔 128만호, 상가 112만호 등 총 240만호로 전년보다 5.1% 증가했다.
오피스텔 기준시가는 0.3% 떨어져 올해에 이어 2년 연속 하락했다. 반면 상업용 건물은 0.51% 올랐다.
지역별로 보면 오피스텔은 고금리와 경기 침체 여파로 서울과 강원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2년째 하락세를 보였다.
1㎡당 기준시가는 서울 강남구의 '아스티(ASTY) 논현'이 1천596만7천원으로 가장 높았다.
같은 구에 있는 '논현동 상지카일룸 M'(1천482만6천원)과 '더 포엠(THE POEM)'(1천351만2천원)이 각각 2위와 3위를 차지했다.
올해까지 5년 연속 최고가였던 '더 리버스 청담'(1천285만4천원)은 신축 오피스텔에 밀려 4위로 내려갔다.
상업용 건물은 외국인 관광객 등 유동인구 증가에 힘입어 서울·광주 등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상승했다.
최고가 건물은 서울 송파구의 잠실주공5단지 종합상가(2천594만8천원)였다.
올해 1위였던 서울 종로구 동대문종합상가 D동(2천381만5천원)은 2위로 순위가 한 계단 내려갔다. 동대문종합상가 B동(2천168만5천원)은 3위에 올랐다.
고시된 기준시가는 이날부터 국세청 홈택스에서 열람할 수 있다.
이의가 있는 소유자나 이해관계자는 다음 달 2일부터 31일까지 재산정을 신청할 수 있다.
기준시가는 시가를 알 수 없는 오피스텔과 상업용 건물의 상속·증여세와 양도소득세 과세에 활용된다.
재산세·종합부동산세 등 보유세나 건강보험료 등 사회보험료 부과에는 적용되지 않는다.
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