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줄이 떨어지는 저축은행 신용등급…투기등급 코앞
https://tv.naver.com/h/74214972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고금리 장기화에 따른 실적 악화와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여파로 수익성과 건전성이 나빠진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줄줄이 강등되고 있다.
저축은행업권은 부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브릿지론 관련 부실 자산 정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상·매각에 속도를 내고 있지만, 부동산 경기회복 지연과 거래자 채무상환 능력 저하 등 부정적인 영업환경이 지속되면서 건전성 회복이 더디게 진행되고 있다.
1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의 대외신뢰도가 떨어지고 있다.
한국기업평가는 지난 7일 바로저축은행의 기업 신용등급을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하향 조정했다.
한기평은 브릿지론 중심으로 건전성 관리 부담이 지속되고 있는 점, 충당금 적립 부담 증가로 수익성이 저하된 점 등을 반영했다.
실제로 자산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NPL)비율은 2022년 말 기준 3%였지만, 2024년 말 17%까지 급등했다.
업권 15위인 JT친애저축은행의 기업 신용 평가도 지난달 21일 'BBB/부정적'에서 'BBB-/안정적'으로 하향 조정됐다.
한국신용평가는 하향 사유로 자산건전성 지표의 높은 부담 수준, 순이자마진(NIM) 개선에도 수익성 회복 지연, 동종 그룹(Peer) 대비 자본적정성 지표 열위 등을 꼽았다.
한신평은 3건 이상 다중채무자 비중이 약 78.8%로 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낮고, 실물경기에 매우 민감해 국내 경기회복이 지연되는 현 상황에서는 건전성 부담이 지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아직 등급조정은 이뤄지지 않았으나 지난해 6월과 9월 등급 전망이 부정적으로 내려간 예가람저축은행이나 고려저축은행 등 여러 저축은행이 신용등급 강등 위기에 놓인 상황이다.
저축은행들의 연이은 신용등급 하향은 업황 악화와 부동산PF 부실 문제에 따른 건전성 악화 등이 주요인으로 꼽힌다.
저축은행중앙회도 1조원 규모의 'PF정상화 펀드'를 조성하는 등 적극적인 부실채권 정리에 나섰지만, 부동산 시장 침체로 좀처럼 속도가 나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문제는 신용등급 하락은 자금조달 수단이 제한적인 저축은행에는 치명적이다.
저축은행의 주요 수신 조달 방안인 '퇴직연금'을 운용할 수 있는 신용등급 마지노선은 'BBB-'이다. 실제 퇴직연금을 통한 수신 조달 비율은 업계 지난해 하반기 기준 평균 26% 수준이다.
저축은행의 신용등급이 투기등급(BB)까지 내려가면 신규 퇴직연금 자금을 유치할 수 없어 영업에도 직격탄을 맞는다. 퇴직연금 신규 유치는 물론, 기존 조달한 퇴직연금 자금도 만기 후 재예치가 불가능하게 된다.
저축은행 관계자들은 전체 조달에서 퇴직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회사채 등을 통한 시장성 조달을 하지 않는 점 등을 고려할 때 신용등급 강등이 당장 유동성 리스크로 이어지는 것은 아니라고 말한다.
하지만 실적 회복을 위해선 영업이 뒷받침돼야 하고, 예금을 통한 조달 비용도 낮춰야 하는 상황이기에 신용등급 관리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최근 저축은행들의 신용등급이 하향 조정된 원인은 아무래도 업황 악화, 연체와 부실 비율 등 건전성 지표 악화, 부동산PF 부실 영향 등인데 이런 문제들은 경기가 좋아지면 자연스럽게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며 "저축은행 업권 특성상 경기와 가장 맞닿아 있는 사업들을 주로 진행하다보니 어려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금리 인하 등을 통해 시장이 회복되면 자연스럽게 회복될 문제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sg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