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 총재, 국채금리 급등에도 "구체적인 언급 자제"
(서울=연합인포맥스) 이민재 기자 =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BOJ) 총재가 시장금리 급등에 대해 예의주시하고 있을 뿐 개입 가능성을 시사하지는 않았다고 니혼게이자이신문 등 주요 외신들은 23일 전했다.
우에다 총재는 22일(현지시간) 캐나다 밴프에서 주요 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의 후 기자들과 만나 "채권 금리의 단기적인 움직임에 대한 구체적인 언급은 자제하고 싶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물론 계속해서 상황을 예의주시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최근 수급 불안정 속에서 일본 국채 초장기 금리가 급등한 데 대한 생각을 물은 데 대한 답변이다.
일본 국채 30년물 금리는 지난 21일 장중 3.1872%까지 올라 역대 최고를 기록한 바 있다.
금리 급등은 오는 7월 참의원 선거를 앞두고 정치권이 경기 부양책을 검토하면서 일본의 재정 정책에 대한 우려가 일부 반영된 것으로 전문가들은 해석했다.
현지 보험사와 연기금 등은 초장기 국채 금리에 대한 우려를 표명하며 중앙은행의 조치를 촉구했다.
시장 참가자들도 중앙은행의 개입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높인 것으로 확인됐다.
일본은행이 게시한 '채권시장 참가자 회합' 자료에 따르면 시장 참가자들은 초장기 구간 매입 축소의 중단이나 매입 금액의 증액, 임시 매입 시행 등 대응을 주문했다고 알려졌다.
일본은행은 오는 2026년 봄까지 월간 국채 매입 규모를 약 2조9천억 엔으로 줄일 방침이다.
한편, 우에다 총재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 대해선 "매우 불확실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고 진단했다.
이어 일본 경제에 미치는 영향 관련 물음에는 "앞으로 데이터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또 미영, 미중 간 무역 협상 결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움직임이 있었다"고 짧게 평가했다.
그러면서 "관세가 어디에서 정착하게 되든 경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에는 여전히 매우 큰 불확실성이 남아 있다"고 덧붙였다.
mjlee@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