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노 적자' 김경수, 李 정부 지방분권 큰 그림 그린다
(서울=연합뉴스) 대통령실은 29일 이재명 대통령이 장관급 대통령직속 지방시대위원장에 김경수 전 경남지사를 지명했다고 강훈식 대통령비서실장의 인사브리핑을 통해 발표했다. 2025.6.29 [연합뉴스 자료사진] photo@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온다예 기자 = 29일 대통령 직속 지방시대위원장(장관급)에 임명된 김경수 전 경남지사는 이재명 정부의 국가균형발전 정책의 로드맵을 그리게 된다.
김 전 지사가 오랫동안 균형발전과 지방자치 필요성을 강조해왔던 만큼 이 정부의 '5극 3특' 등 균형발전 공약을 신속하게 추진할 적임자라는 평가가 나온다.
김 전 지사는 지난 대선 경선에 참여해 이재명 대통령과 경쟁했던 인물로, '친노'(친노무현), '친문'(친문재인) 핵심 인사로 꼽힌다.
경남지사 시절부터 부울경(부산·울산·경남) 메가시티 추진을 강력하게 밀어붙였고 지난 대선 때는 국가 전체로 시각을 확장해 '5대 메가시티'를 주요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는 수도권, 충청권, 호남권, 부울경, 대구·경북 등 5개 권역을 메가시티 자치 정부로 만들고, 3개 특별자치도(전북·강원·제주)를 세워 수도권 일극체제 타파하자는 제안이다.
또 행정수도 이전도 공약으로 내세우며 균형발전을 상징하는 세종시로 대통령실을 이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전 지사는 이 대통령이 대선 후보 시절 총괄선거대책위원장과 후보 직속 국토공간혁신위원장을 맡아 새 정부 국가균형발전의 밑그림을 그렸다.
이 대통령이 균형발전 전략을 책임질 지방시대위원장에 김 전 지사를 임명한 것도 그의 지방행정 경험과 정책 철학을 높게 평가했기 때문으로 보인다.
김 전 지사는 인선 발표 후 페이스북을 통해 "지방이 살아야 수도권의 경쟁력도 함께 높아질 수 있다"며 "전국 어디에서나 골고루 잘 사는 나라가 되어야 지속가능한 대한민국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이 시작했던 균형발전의 꿈을 이재명 대통령의 공약인 '행정수도 이전'과, 초광역 협력을 통한 '5극3특' 국토공간 대전환으로 반드시 성공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친노·친문 적자로 불리는 김 전 지사 인선은 당내 통합 차원으로도 풀이된다.
그는 노무현 정부에서 청와대 국정상황실·제1부속실 행정관, 청와대 연설기획비서관, 대통령 공보비서관 등을 지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퇴임한 뒤에는 경남 김해시 봉하마을에 정착해 노 전 대통령이 세상을 떠날 때까지 보좌해 '노무현의 마지막 비서관'이란 별칭을 얻었다.
2014년 지방선거에서 새정치민주연합의 경남도지사 후보로 나서 당시 새누리당 홍준표 후보와 경쟁했지만 낙선했다. 이후 2016년 20대 총선에서 민주당 소속으로 경남 김해을에 출마해 당선됐다.
민주당 경남도당위원장, 원내 협치부대표, 제20대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위원을 역임했다.
문재인 정부에서는 경남지사를 지내던 중 '드루킹 댓글 조작 사건'(컴퓨터 등 장애업무방해 혐의)으로 징역 2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지사직을 잃었다. 2022년 특별사면으로 출소해 이듬해 복권됐다.
이 대통령의 김 전 지사 인선을 두고 내년 열리는 지방선거를 대비한 포석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 대통령은 부산의 유일한 민주당 의원인 전재수 의원을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한 데 이어 연내 해양수산부 부산 이전을 지시하는 등 부산 정책에 속도를 내고 있다.
보수정당 우세 지역인 부산에서 민주당 기류가 강해지면서 부울경 메가시티를 밀어붙였던 김 전 지사를 내세워 PK(부산·울산·경남) 민심 공략에 힘을 실었다는 분석이다.
dy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