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표] 7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25.06.30
읽는시간 0
[표] 7월 및 중장기 달러-원 전망-①



◇이상준 산업은행 대리

전반적으로 글로벌 달러화가 약세 흐름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한다. 관세 90일 유예기간이 끝날 때까지 협상이 어느 정도로 진행되느냐에 따라 다르겠으나, 최근 중동 분쟁 끝낸 속도를 보면 관세 관련 협상도 조기에 끝낼 가능성이 존재한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7월 조기 금리 인하 가능성 및 국내 증시에서 지속적으로 유입되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주식 매수세 또한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한국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는 국내 개인 부채와 집값의 상승세 억제를 감안해 상대적으로 호키시(매파적)할 것으로 본다. 다만 기업들이 소비자에게 차츰 가격을 전가하는 추세 등 본격적으로 관세의 영향이 반영될 여름 물가지표에 따라 미국의 하반기 금리 인하 경로가 재프라이싱될 경우, 달러가 반등할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

│2025년 7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30~1,385 │ 1,370 │ 1,360 │ 1,350 │

└─────────┴─────────┴────────┴────────┘



◇전용진 우리은행 과장

중동의 정세가 빠르게 정리되고 있는 점은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하겠지만, 미국의 금리 인하 지연 시그널은 달러-원 환율의 하방을 경직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단기적으로 1,350원 지지선을 하향 깨는지 주의 깊게 볼 필요가 있다.

┌─────────┬─────────┬────────┬────────┐

│2025년 7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50~1,390 │ 1,360 │ 1,350 │ 1,340 │

└─────────┴─────────┴────────┴────────┘



◇정용호 KB증권 부부장

달러-원 환율에 글로벌 달러 하락으로 인한 하락 압력이 있겠다. 다만 국민연금의 환헤지 중단으로 인한 매도 압력 완화와 한미금리차 지속으로 인한 펀더멘탈 부담에 환율 하단이 지지될 것으로 관측한다.

┌─────────┬─────────┬────────┬────────┐

│2025년 7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40-1,390 │ 1,370 │ 1,370 │ 1,370 │

└─────────┴─────────┴────────┴────────┘



◇이현환 IM뱅크 과장

중동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완화하고, 미국의 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에 달러 약세 흐름이 유지될 것으로 예상한다.

┌─────────┬─────────┬────────┬────────┐

│2025년 7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40~1,380 │ 1,340 │ 1,320 │ 1,350 │

└─────────┴─────────┴────────┴────────┘



◇김민수 IBK기업은행 차장

중동 분쟁이 마무리되며 위험선호가 돌아온 점,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금리인하 가능성도 조금씩 열리며 달러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예상한다.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가 남아있지만, 7월에 발표될 지표는 우려할 정도가 아닐 것 같다. 국내 대규모 추가경정(추경)에 따른 경기회복, 증시 호조로 인한 외국인 자금 유입이 원화 강세에 일조할 것으로 전망한다.

┌─────────┬─────────┬────────┬────────┐

│2025년 7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40~1,390 │ 1,370 │ 1,360 │ 1,350 │

└─────────┴─────────┴────────┴────────┘



◇오주영 신한은행 과장

이스라엘과 이란 간 휴전으로 고조됐던 중동 지역의 긴장이 해소되면서 리스크오프(위험회피) 심리가 개선되고, 대선 이후 외국인 투자자들의 자금이 국내 증시로 유입된 점은 달러-원 환율의 하방 압력 요인이었다. 중동 지역 리스크가 일단락되면서 시장은 다시 연준의 금리 인하 시기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협상에 초점을 맞추며 반응할 전망이다. 최근 연준의 이사들이 7월 인하 가능성을 시사하면서 금리 인하 기대감이 상승했고, 이는 달러화 약세 재료다. 달러-원 환율 하락에 우호적인 상황이지만, 월초 상호관세 유예 종료가 예정돼있어 연장 여부에 따라 방향을 탐색할 것으로 생각한다.

┌─────────┬─────────┬────────┬────────┐

│2025년 7월 전망치 │ 2025년 3분기 │ 2025년 4분기 │ 2026년 1분기 │

├─────────┼─────────┼────────┼────────┤

│ 1,330~1,380 │ 1,350 │ 1,330 │ 1,300 │

└─────────┴─────────┴────────┴────────┘



(서울=연합인포맥스)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지연

김지연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