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산업장관에 원전기업 사장 지명…에너지업계에 준 '시그널'은

25.06.30
읽는시간 0
산업장관에 원전기업 사장 지명…에너지업계에 준 '시그널'은

"에너지 정책 방향과 무관" 설명에도 상징성 '상당'

탈원전 거리두기 '재확인'…'실용주의' 영향 미칠 듯



https://tv.naver.com/h/79364855



(세종=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이번 인사가 에너지 정책의 방향을 알리려는 것은 아닙니다."

30일 대통령실 등에 따르면, 강훈식 비서실장은 전날(29일) 서울 용산구 대통령실 청사에서 가진 인사 관련 브리핑에서 '두산의 현직 고위 경영진 발탁이 새 정부의 원전 정책과 관련해 어떤 메시지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나'라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이재명 정부의 첫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지명됐다는 발표를 한 직후다.

두산에너빌리티[034020]는 원자력발전소의 핵심 설비인 원자로와 증기발생기, 냉각 펌프, 핵연료 취급 설비 등을 만드는 곳이다. 원전 기업 고위 경영진에게 산업부 수장을 맡겼다는 의미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 후보자 질의응답

(서울=연합뉴스) 임화영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 사장이 30일 서울 강남구 한국기술센터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사무실로 첫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2025.6.30 hwayoung7@yna.co.kr





강 비서실장은 "오히려 저희는 에너지 믹스라고 하는 대통령의 철학을 잘 구현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며 "복합적인 에너지 이슈뿐만 아니라 산업 정책 전반에 대해서 전문성과 실행력을 담보할 수 있는 후보자라고 생각한다"고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이번 인사가 정부의 에너지 정책 방향성과 무관하다는 취지다.

강 비서실장의 답변과 달리 에너지업계에서는 원전이 이재명 정부의 에너지 정책에서 어느 정도 의미 있는 역할을 담당할 거란 시그널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인사 자체가 주는 '상징성'이 상당하기 때문이다.

적어도 과거 문재인 정부의 '탈(脫)원전'과는 분명 다른 노선을 취한다는 사실이 재확인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탈원전 정책을 계승할 의도가 있었다면 이같이 시장에 혼란을 줄 수 있는 인사를 애초에 하지 않았을 거란 점에서다. 원전업계 입장에선 이른바 '최악'은 피했다고 볼 수 있다.

그동안 이재명 대통령은 원전에 대해 "일도양단이 어렵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방향성 측면에선 재생에너지 중심으로 가는 게 맞지만, 전력 공급의 안정성 측면에서 단숨에 원전을 멈출 수 없다는 뜻이다. 원전을 '브릿지 에너지'로 활용해야 한다는 취지로 볼 수 있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TV 토론에서 "기본적으로 원전은 위험하고 지속성에 문제가 있다. 그러나 기저 전력으로서 '완전히 중단할 수 있나'라고 하면 '아니다'라고 생각한다"며 "과하지 않게 활용하고, 좀 더 안전한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써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에너지 믹스'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원전도, 재생에너지도 필요하다. 다만 비중을 어떻게 할 것인가가 문제"라면서다.

이재명 대통령, 기내 기자간담회

(캘거리[캐나다]=연합뉴스) 한상균 기자 =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출국한 이재명 대통령이 16일(현지시각) 캐나다 앨버타주 캘거리로 향하는 공군 1호기에서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6.17 xyz@yna.co.kr





이는 '실용주의'를 전면에 내세우고 의사결정을 하는 이 대통령의 스타일과도 무관치 않다. 현실적으로 원전을 배제한 채 '실용적 에너지 정책'을 말하기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 대통령은 취임 일주일 만에 페트르 피알라 체코 총리와 통화하며 체코 두코바니 신규 원전 건설 계약 체결에 관해 이야기를 나눴다.

미국과 일본, 중국에 이어 네 번째로 가진 해외 정상과의 통화였다. 한국 대통령이 체코 정상과 이처럼 빠르게 전화 통화를 한 전례가 없다. 보통은 미국을 시작으로 주변 강대국들과 먼저 통화하는 게 관례였다.

이를 두고 26조원 규모의 신규 원전 계약 성사를 고려한 실용적 외교 행보라는 해석이 나왔다. 이 대통령이 임기 내내 지금과 같은 실용주의를 강조한다면, 에너지 정책에 있어 원전을 배제하는 일은 없을 거란 관측도 제기됐다.

김정관 후보자는 지명 직후 밝힌 소감에서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그린형 산업구조로의 전환, 친환경 에너지 확대, 에너지 안보 강화 등에 정책역량을 결집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두산에너빌리티 주가는 오전 10시57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2.43% 오른 6만7400원에 거래되고 있다. 장초 김 후보의 산업부 장관 후보자 내정에 따른 원전 사업 확대 기대감에 7만2천원까지 올랐다 차츰 빠졌다.

sjyo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수진

유수진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