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도 비상계엄에 움츠렸다…상반기 FDI 14.6%↓(종합)
M&A, 전년비 44.6%↓…亞 국가 유입 저조
새정부가 육성하는 AI, 반도체 등에 외국기업 유치
(세종=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작년 12월 3일 비상계엄으로부터 새 대통령 선출까지 약 6개월간 외국인의 투자 경계감이 확산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직접투자(FDI)가 M&A(인수합병) 및 제조업을 중심으로 대폭 감소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3일 공개한 'FDI 동향'을 보면 외국인은 올해 상반기에 총 131억300만달러의 직접투자를 신고했다. 전년 같은 기간보다 14.6%가 줄었다. 지난 1분기에 64억500만달러, 2분기에 66억9천800만달러를 각각 기록했다.
상반기 기준으로 이번 FDI 감소율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으로 변동성이 심했던 지난 2022년 상반기 이후 가장 크다. 반기로 집계한 금액도 이때 이후 최저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유법민 산업부 투자정책관은 "미국 관세 정책과 지난 12월 비상계엄 사태 이후 국내 정치적 불안정성으로 최근 글로벌 기업들의 신규 투자 보류가 지속됐다"며 "투자 의향을 나타내는 외국인 투자 신고는 전년 동기 대비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특히 제조업은 미국의 국가별 관세가 어떻게 정해지는지에 따라 어느 곳에 공장 시설을 설치할지가 수출과 무역 측면에서 크다"며 "불확실성이 해소돼서 판단이 가능한 시점에 투자의사 결정을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 투자정책관은 계엄 이후 다양한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우리나라의 상황이 괜찮은 것인지에 대한 문의를 받았다고 했다. 계엄의 여파를 다른 국가들이 민감하게 받아들이는 분위기를 느꼈다. 큰 규모의 투자 철회가 없었던 것이 안도할 만한 요인이었다.
새정부의 경제정책이 AI(인공지능)와 반도체, 바이오 등을 육성하겠다는 것인 만큼, 향후 관련 부문을 위주로 투자유치를 전개할 계획을 유 투자정책관은 전했다. 국내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면서도 필요 공급망에 대한 외국기업을 중점적으로 타진할 예정이다.
외국 기업이 새로운 자산과 시설을 직접 구축해 투자하는 '그린필드' 유형은 전년보다 4.5% 줄었다. M&A는 44.6%가 축소했다.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국가별로 보면 아시아 국가들의 참여가 저조했다. 일본이 전년보다 25.4%, 중국은 39.0% 감소했다. 일본은 대미 투자를 늘리는 방향을 잡은 것이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은 미국의 관세로 투자 심리가 저조해진 상태다.
작년 해상풍력 입찰이 효과를 보인 유럽연합(EU)(14.5% 증가)과 유통매장 등 서비스 투자가 확대한 미국(20.2% 증가)이 아니었다면 FDI가 더 부진할 뻔했다. 미국은 코스트코의 투자 계획이 큰 규모로 나온 것으로 파악됐다.
제조업에 대한 FDI는 전년보다 34.5% 줄어든 53억3천만달러, 서비스업은 10.6% 늘어난 70억9천만달러를 보였다. 제조업은 미국 관세 정책에 따른 글로벌 투자의 미국 쏠림현상 및 국내 설비투자 위축에 따라 전기·전자(-61.6%), 기계장비·의료정밀(-77.0%) 등 장치산업 위주로 나빠졌다.
그래도 FDI 투자자금 도착은 72억9천만달러로 전년 동기 대비 2.7% 증가했다. 작년에 양호했던 투자신고 실적이 진행된 결과다.
유 투자정책관은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상황 속에서 상반기 실적만으로는 올 한해 외국인직접투자 상황을 예단하기 어렵지만, 신정부 출범, 미국 관세 불확실성 완화를 계기로 하반기에는 실적이 개선돼 상저하고(上底下高) 흐름을 보일 것으로 전망한다"고 제시했다.
이어 "AI, 반도체, 소재·부품·장비 등 그린필드 첨단산업을 타겟팅한 현지 IR(기업설명회), 국내 진출 외투기업을 대상으로 추가 투자 수요를 발굴하는 지역순회 IR 등 다양한 국내외 유치 활동을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