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서 현대차그룹 車 계속 사는 이유에 '안전' 있다
IIHS 및 NCAP에서 경쟁사 대비 우월한 안전성 인정
관세 국면서 판매량 호조에 일조
(서울=연합인포맥스) 이재헌 기자 =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판매 성장세가 이어지고 있다. 관세 국면에서 경쟁사인 일본 완성차 기업에서도 앞섰다. 상품성에 이어 '안전'까지 긍정적 평가를 받는 영향으로 파악된다.
4일 글로벌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그룹은 2021년부터 5년간 IIHS 충돌안전평가에서 최고 안전한 차를 의미하는 '톱 세이프티 픽(TSP)',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 등급에 총 106개 모델이 선정됐다. 2021년 28개를 시작으로 2022년 26개, 2023년 15개, 2024년 22개, 2025년 현재까지 15개 모델이다.
전 세계 자동차그룹 기준 최다 횟수다. 같은 기간 토요타 그룹 80개가 들어갔다. 폭스바겐 그룹 62개, 마쯔다 40개가 뽑혔다.
[출처: 현대차그룹]
IIHS는 1959년 설립된 비영리단체로 매년 미국 시장에 출시된 차량을 종합적으로 평가하고 최고 수준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에 TSP+ 등급을, 양호한 성적을 거둔 차량에 TSP 등급을 부여한다.
특히 IIHS의 충돌안전평가 기준이 매년 강화되는 상황에서 이룬 성과라 의미가 크다. 현대차그룹은 2년 연속 TSP 이상 등급에 가장 많이 포함됐다.
IIHS는 지난해 정면충돌 평가(updated moderate front overlap)에서 운전자 뒷좌석에 작은 체구 여성 또는 12세 아동 탑승을 가정해 작은 체구의 더미를 추가한 새로운 평가 방식을 도입했다. 올해는 해당 평가 성적이 '훌륭함(good)'을 획득해야만 TSP+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기준을 더 올렸다. 보행자 충돌 방지 평가에도 주야간 성적 모두 양호(acceptable) 이상부터 TSP, TSP+ 등급을 받을 수 있도록 평가 기준을 한 차례 높였다.
현대차그룹은 유럽의 대표 신차 안전성 평가 프로그램인 유로 NCAP에서도 판매 중인 모든 전용 전기차가 최고 등급 별 다섯(★★★★★)을 획득했다.
2021년 아이오닉 5를 비롯해 아이오닉 6(2022년), 기아 EV6(2022년), EV9(2023년) EV3(2025년), 제네시스 GV60(2022년) 등 평가를 받은 현대차그룹의 모든 전용 전기차 모델이 최고 등급을 달성했다. 유로 NCAP은 1997년에 시작된 신차 안전성 평가로 유럽에서 판매 중인 자동차에 대한 안전성 검증 테스트를 실시해 매년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공인된 안전성은 판매량과도 직결됐다. 현대차그룹의 해외시장 판매량은 지난 2021년 약 540만대에서 작년 598만대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올해 상반기에는 미국에서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GM을 제외하면 도요타, 포드, 혼다 등이 현대차그룹의 판매량 증가율(전년 대비)을 따라가지 못했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현대차그룹 관계자는 "안전 분야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반열에 오른 것은 현대차그룹의 글로벌 판매 증대와 브랜드 이미지 제고에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했다"며 "수천번의 충돌 테스트와 실제 사고 분석을 통해 불가피한 사고 발생 시에도 강건한 차체 구조와 최적의 안전장치로 승객의 상해를 최소화하는 데 중점을 두고 기술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고객 안전을 위해 수많은 신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차량에 적용해온 배경에는 경영진의 안전 최우선 철학이 근간으로 자리하고 있다"며 "앞으로도 현대차그룹은 안전 최우선 철학을 바탕으로 지속적인 연구 개발을 통해 최고의 안전성을 갖춘 차량을 고객에게 제공할 것"이라고 전했다.
jhlee2@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