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하반기 분양 13만7천세대 계획…"금융규제에 유동적"
https://naver.me/II4viLWz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올해 하반기 아파트 분양 물량이 상반기의 2배 수준에 달하지만, 금융 규제로 인해 상황은 유동적일 것으로 전망됐다.
7일 직방에 따르면 올해 하반기 전국에서 분양이 예정된 물량은 156개 단지, 총 13만7천796세대에 달했다.
상반기 실제 분양 물량 7만1천176세대의 거의 두 배 수준이다. 계획 물량 중 일반 분양 물량은 6만4천697세대로 상반기 대비 25%가량 많은 수준이다.
하반기 분양 물량은 7~8월에 집중돼 있다. 7월에는 2만9천567세대, 8월에는 2만5천28세대가 분양될 예정이다.
9~12월에는 월 1만세대 이상의 공급이 이어질 전망이다.
하반기 분양 물량이 늘어난 데는 6월 이후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일부 회복세를 보이면서 건설사들이 분위기 반전을 기대하며 일정을 앞당긴 결과로 해석됐다.
그러나 전체 분양 계획 가운데 아직 분양 시점이 확정되지 않은 '월미정' 물량이 2만7천265세대에 달하는 등 실제 일정은 유동적이다.
특히 지난 6월 27일 정부가 발표한 '가계부채 관리 강화'대책 이후, 금융 환경이 급격히 경직되면서 분양 일정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다.
이번 대책은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최대 6억 원으로 제한하고, 소유권 이전 전 단계에서의 전세대출이 금지되면서 실수요자의 자금 조달 여건은 한층 더 까다로워졌다.
이에 따라 분양가가 높은 단지일수록 실수요자의 자금조달이 어려워졌고, 잔금대출이 막히면서 청약 수요 자체가 위축될 가능성이 커졌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전체 물량의 약 65%를 차지하며, 8만9천67세대가 분양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경기도가 5만7천240세대로 가장 많고, 서울은 1만9천623세대, 인천은 1만2천204세대로 뒤를 잇는다.
서울은 정비사업을 통한 분양이 많다. 송파구 '잠실르엘', 서초구 '래미안트리니원', 은평구 '갈현1구역', 관악구 '신림2구역' 등이 주요 공급지로 꼽힌다. 경기·인천은 남양주 진접2지구, 왕숙지구, 시흥 하중지구, 인천 영종지구 등 공공택지 및 도시개발지구 중심으로 공급이 이어질 예정이다.
지방은 부산이 1만5천708세대로 가장 많고, 충북(6천929세대), 충남(3천875세대), 대구(3천509세대), 경남(3천437세대), 울산(3천316세대) 순으로 집계됐다.
직방 관계자는 "6월 말 발표된 가계부채 관리 강화 방안 이후 시장 환경은 한층 보수적으로 전환됐다"라며 "실수요자들은 주택담보대출 한도 축소와 전세대출 규제 등으로 자금 마련이 까다로워졌고, 건설사는 자금조달 구조에 따라 미분양 리스크가 달라질 수 있는 만큼, 단지별로 분양 전략을 탄력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커졌다"고 말했다.
[출처: 직방]
ys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