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월 은행권 가계대출 6.2조↑…집값 뛰자 10개월만 최대폭 증가
한은 "7~8월까지 가계대출 증가폭 확대될 것으로 보여"
"6·27 대출규제 효과시 증가세 둔화에 상당한 도움될 것"
https://tv.naver.com/h/79966473
(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최근 서울 집값 급등세가 이어지고 주택 거래가 늘어나면서 6월 은행권 가계대출이 6조원 넘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정부의 6.27 가계부채 대책이 효과를 내기까지의 시차 등을 고려할 때 7월과 8월까지 증가세는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한은이 9일 발표한 '6월중 금융시장 동향'에 따르면 올해 6월 예금은행의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6조2천억원 증가해, 지난해 8월에 9조2천억원 증가한 이후 10개월 만에 최대 폭으로 늘어났다.
최근 증가폭이 4월에 4조7천억원, 5월에는 5조2천억원을 기록한 이후, 6월에는 6조원까지 넘기면서 증가 추이는 더 가팔라졌다.
증가 규모 확대분의 대부분은 주택담보대출이었다.
주택담보대출은 5조1천억원 늘어, 전월(4조1천억원)보다 1조원 증가했다.
지난 몇달 간 늘어난 주택거래가 시차를 두고 영향을 미치면서 증가폭이 확대된 것으로 풀이됐다.
전세자금대출은 3천억원 증가하면서 전월의 6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다소 축소됐다.
비은행권을 포함한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도 6조원대 규모인 것으로 나타났다.
박민철 한은 금융시장국 시장총괄팀 차장은 "주택 거래량이 5월과 6월에 큰폭으로 증가했는데, 시차를 두고 반영되면서 7~8월까지는 가계대출 증가폭이 좀 더 확대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7월 들어서의 주택거래 흐름을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지난달 국정기획위원회 업무보고에서 한은이 8~9월 중까지 가계대출이 급증할 가능성이 있다는 입장을 드러낸 것과는 사뭇 차이가 있는데, 여기에는 정부의 6.27 가계부채 대책의 효과가 반영됐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박 차장은 "6.27 대책의 효과를 판단하기에는 이르다고 생각하지만, 주담대 한도 6억원 제한, 6개월 내 전입신고 의무 등의 조치들이 의도한 대로 효과를 거둔다면 가계부채 증가세를 둔화시키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고 언급했다.
이달 초 5대 은행의 6월 가계대출 잔액이 6조7천억원 이상 늘어났다는 언론 보도가 있었지만, 한은의 통계치에는 주택금융공사 양도분이 포함되면서 수치에 차이가 나타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 주금공 양도분은 마이너스(-) 5천억원 수준인 것으로 집계됐다.
예금은행의 신용대출 등 기타대출은 1조1천억원 늘어 전월과 비슷한 규모로 늘었다. 반기말 부실채권 매·상각에도 주식투자 및 생활자금 수요 등의 영향이다.
다만 예금은행의 기업대출은 반기말 계절요인 등으로 감소 전환했다.
기업대출은 3조6천억원 줄어, 전월에 8조원 늘어난 것과 달리 감소했다.
세부적으로 대기업대출은 3조7천억원 줄어, 전월의 5조4천억원 증가했던 것에 비해 증가규모가 상당폭 감소했다.
반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일시 상환, 일부 대기업의 한도대출 상환 등의 영향이다.
박 차장은 "계절 요인 이외에 특이 요인이라면 일부 대기업이 자금조달 방식 다변화 차원에서 수출대금 외화매도를 통해 운전자금을 조달하던 것을 한도대출을 통해 조달했던 측면이 있었는데, 해당 부분이 6월에 전부 상환되면서 감소폭이 커졌다"고 말했다.
중소기업대출은 1천억원 늘어나, 전월의 2조6천억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줄었다.
은행권의 신용리스크 관리 지속, 반기말 부실채권 매·상각 등의 영향 때문이다.
회사채는 5천억원 순상환 흐름이 지속됐다. 기업들의 차환목적 선발행 등의 영향이다.
기업어음(CP)·단기사채는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단기부채 상환 등으로 6천억원 순상환했다.
6월 중 은행 수신은 27조3천억원 늘어나면서 큰 폭 증가했다.
수시입출식예금은 38조4천억원 늘어나면서, 전월의 7조원 대비 증가폭이 크게 확대됐다.
반기말 재무비율 관리를 위한 법인자금 유입 등의 영향이다.
정기예금은 전월 19조2천억원 증가에서 7조1천억원 감소로 전환됐는데, 그간의 예수금 확충 등으로 은행들의 자금조달 유인이 낮아진 것에 기인한다.
자산운용사 수신은 1조3천억원 줄어들면서 소폭 감소 전환했다. 머니마켓펀드(MMF)가 반기말 재무비율 관리, 반기 결산 등을 위한 기업 및 정부 자금유출 등으로 큰 폭 감소 전환한 탓이다.
jhson1@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