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시장 '급랭'…6·27 대책 후 최고가 거래 74%↓
https://naver.me/xZjm1k97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영숙 기자 = 지난 6월27일 발표된 정부의 '가계 부채 관리 강화방안' 이후 2주 만에 최고가 거래가 74%가량 급감했다.
직방은 국토교통부 서울 아파트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6.27 부동산 대책 발표 후 2주간의 최고가 거래량이 발표 전 2주간보다 74%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고 14일 밝혔다.
대책 발표 전 2주 동안(6월 13일~6월 26일)에는 총 4천693건의 거래 중 1천141건이 최고가 거래였다. 전체 거래의 24.3%가 최고가를 경신했다.
당시는 강남권에서 시작된 가격 상승세가 마포, 용산, 성동 등지로 빠르게 확산하며, 투자 수요가 급격히 늘어나던 때다
그러나 정부가 주택담보대출 6억원 제한, 소유권 이전 전 전세 대출 금지 등의 초고강도 대출 규제를 내놓으면서 시장은 빠르게 냉각했다.
대책 발표 이후 2주간(6월 27일~7월 10일)의 거래량은 1천312건, 최고가 거래량은 300건으로 집계됐다. 최고가 거래량은 대책 발표 전 대비 74%가량 줄었고 최고가 거래량 비중 또한 22.9%로 1.4%P 감소했다.
직방 관계자는 "최고가 거래는 통상 기존 매수 수요의 상승 기대감과 적극적인 매입 태도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최고가 거래 비중의 감소는 기존의 공격적 매수세가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한다"고 진단했다.
[출처: 직방 ]
지역별로는 마포, 성동, 강동 등 대책 전 최고가 거래가 많았던 지역에서 최고가 거래가 눈에 띄게 줄었다. 대책 전 2주간 최고가 거래량이 139건으로 가장 많았던 성동구는 대책 후 22건으로 84% 감소했다. 마포구(137건)는 대책 후 최고가 거래량이 18건으로 집계되며 87%가량 감소했다.
강동구의 최고가 거래량도 대책 후 23건으로 80% 감소해 정책이 현장에 빠르게 반영됐음을 보여줬다.
대책 전 112건의 최고가 거래가 있었던 강남구는 대책 후 41건으로 줄며 63% 감소했다. 다만 강남3구의 경우 토지거래 허가 절차를 고려할 때 대책 후 체결된 거래의 일부가 대책 이전에 약정된 거래일 수 있다.
이외 동작구(85건->15건), 영등포구(82건->18건), 광진구(50건->16건), 강서구(34건->16건), 동대문구(30건->4건) 등도 최고가 거래량이 줄어 대출 규제로 투자자나 실수요자들이 관망세로 돌아선 것으로 풀이됐다.
직방 관계자는 "강도 높은 규제 여파로 기존 매물의 호가가 일부 조정되고, 매수 문의 자체가 줄어들며 거래는 사실상 멈춰 선 상태"라며 "이번 대책을 두고 시장 일각에서는 '맛보기 대책'이라는 평가와 함께 추가 규제 가능성까지 예고되는 만큼, 수요자들은 당분간 매수에 더욱 신중한 태도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출처: 직방 ]
ys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