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미국 관세에도 중국 2분기 GDP 5.2% 성장…내수 둔화는 여전(종합)

25.07.15
읽는시간 0
미국 관세에도 중국 2분기 GDP 5.2% 성장…내수 둔화는 여전(종합)



(서울=연합인포맥스) 홍경표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에도 중국의 올해 2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했다.

15일 중국 국가통계국(NBS)은 지난 2분기 중국의 실질 GDP가 전년 동기 대비 5.2% 성장했다고 발표했다.

연합인포맥스 경제지표(화면번호 8808)에 따르면 시장 예상치는 5.1% 성장이었다.

전 분기 대비로는 GDP가 1.1% 성장해 시장 예상치 0.9%를 상회했다.

중국의 올해 상반기 GDP는 전년 동기 대비 5.3% 성장했다.

견조한 수출 증가가 GDP 성장세를 이끌었다.

NBS는 6월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5.8% 증가하며 5월 4.8%에서 상승폭이 확대됐다고 발표했다.

미국과 중국이 무역 협상을 재개하고 미국에 대한 중국 수출품에 부과됐던 고율 관세가 완화되면서, 기업과 소비자들의 주문이 급증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기업들은 다른 국가로의 수출과 해외 생산을 확대해 트럼프 행정부가 부과한 관세 인상의 영향을 상쇄했다.

NBS는 "생산과 수요는 안정적으로 성장했고 고용은 전반적으로 안정적이었으며, 가계 소득은 지속적으로 증가했다"며 "전반적으로 상반기에 더욱 적극적이고 효과적인 거시정책이 효과를 발휘하면서 국민 경제는 양호한 모멘텀과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강한 회복 탄력성과 활력을 보여줬다"고 밝혔다.

하지만 수출과 달리 내수는 침체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어, GDP 상승폭 자체는 꺾이는 모습을 나타냈다.

올해 1분기 GDP는 전년 동기 대비 5.4%, 전분기 대비 1.2% 증가했는데, 2분기에는 1분기 대비 성장률이 둔화했다.

중국의 올해 상반기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기 대비 0.1% 하락해 디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했다.

또 소매 판매는 6월에 전년 대비 4.8% 증가했는데, 이는 5월의 6.4% 증가보다 낮아진 수치다.

올해 상반기 전체 고정자산 투자는 전년 대비 2.8% 증가했는데, 이는 1월부터 5월까지의 3.7% 증가에 비해 줄어든 수치다.

작년 경제 성장의 큰 걸림돌이었던 부동산 투자는 상반기에 11.2% 감소했는데, 작년보다 감소폭이 확대됐다.

NBS는 "대외 환경의 불안정하고 불확실한 요인이 많고 국내 유효수요가 부족하며, 경제 회복 및 성장 기반을 더욱 공고히 해야 한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트럼프 관세 불확실 속에서, 과잉 생산 능력과 부동산 시장 위축에 따른 디플레이션 압력으로 내수가 여전히 취약한 상태인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침체된 부동산 업계에 대한 추가 지원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으며, 투자자들은 이달말 예정된 정치국 회의에서 발표될 새로운 경기 부양책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하지만 경기 부양책만으로는 고질적 디플레이션 압력을 해소하기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캐피털 이코노믹스의 황쯔춘 중국 이코노미스트는 "GDP 지표가 아마도 여전히 성장세를 과장하고 있을 것"이라며 "수출이 둔화되고 재정 지원의 순풍이 약화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올해 하반기에는 성장세가 더욱 둔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연합인포맥스 해외주요국 외환시세(화면번호 6411)에 따르면 역외 달러-위안(CNH) 환율은 오후 12시4분 현재 전일보다 0.04% 상승한 7.1734위안에서 거래되고 있다.



중국 경제 이미지

[출처 : 연합뉴스 자료 사진]







kpho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홍경표

홍경표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