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서울채권시장 "美 CPI, 연준 조기 인하 기대 꺾어"

25.07.16
읽는시간 0
서울채권시장 "美 CPI, 연준 조기 인하 기대 꺾어"



(서울=연합인포맥스) 손지현 기자 = 서울채권시장 참가자들은 미국의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조기 금리 인하 기대감을 완전히 꺾어버렸다고 평가했다.

다만 지난 7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비둘기파적인 스탠스를 보인 영향으로 국내의 경우 영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16일 미 노동부에 따르면 6월 CPI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7%, 전달보다 0.3% 상승했다. 시장 전망치에 모두 부합했다.

근원 CPI는 각각 2.9%, 0.2% 올랐는데, 시장 전망치(3.0%, 0.3%)를 0.1%포인트씩 밑돌았다.

CPI의 전월대비 오름세가 빨라진 가운데 일부 품목에서는 관세 영향이 확인됐다.

시장에서는 2주 앞으로 다가온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의 비둘기파적인 스탠스를 기대하기 어려워졌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당분간 관세가 인플레이션에 미치는 영향에 예민해질 수밖에 없을 것으로 내다봤다.

A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7월 조기 인하 기대감은 꺾어버리는 지표였다"며 "관세 영향 받는 품목들의 상승폭에 초점이 맞춰졌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관세 반영도가 지속적으로 물가에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B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일부 품목에서 관세의 영향으로 가격 상승이 나타나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당장의 숫자보다는 향후에 관세로 인해 물가가 오를 수 있다는 경계감이 생긴 듯하다"며 "이같은 심리가 금리를 상승시켰다"고 말했다.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보는 일부 연준 인사들의 스탠스도 흔들릴 수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

C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기업이 관세 전가를 소비자에게 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며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나 미셸 보우먼 연준 금융감독 부의장 등 관세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적을 것이라고 보는 뷰에는 걸림돌로 작용할 것"이라고 말했다.

더 나아가 우선은 미국의 6월 소매판매 등 다음 지표를 대기하려는 심리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오는 17일에 6월 소매판매가 공개된다.

C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이렇게 6월 CPI가 올랐다면 소매판매는 어떻게 됐을지가 의문이 들긴 하다"며 "시장은 9월 인하 기대감을 두고 소매판매를 대기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국내의 경우 7월 금통위 여파로 약세가 제한적일 것으로 전망했다.

B 증권사의 채권 딜러는 "한국은 미국 금리 영향을 안 받을 수는 없겠지만 도비시한 금통위를 소화한 탓에 밀리는 폭이 제한적일 듯하다"고 말했다.

그는 "늦어도 10월에는 금리 인하가 단행될 것이며, 8월 인하 가능성도 열려있기 때문"이라고 언급했다.

미국 식료품 가게





jhson1@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손지현

손지현

함께 보면 도움이 되는
뉴스를 추천해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