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국회 윤리특위, 개원 1년2개월만 구성…강선우·이준석 징계안 계류

25.07.29
읽는시간 0
국회 윤리특위, 개원 1년2개월만 구성…강선우·이준석 징계안 계류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

(서울=연합뉴스) 박동주 기자 = 29일 국회 운영위원회 전체회의에서 김병기 위원장이 의사봉을 두드리고 있다. 2025.7.29 pdj6635@yna.co.kr





(서울=연합인포맥스) 온다예 기자 = 22대 국회가 개원한 지 1년 2개월 만에 국회 윤리특별위원회가 구성됐다.

국회 운영위원회는 29일 전체회의를 열어 윤리특위 구성 결의안을 통과시켰다.

윤리특위는 위원장을 포함해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 각 6명씩 총 12명으로 구성된다. 활동 기한은 내년 5월 29일까지다.

이날 회의에서는 비교섭단체 의원들 사이에서 '여야 각 6인'으로 수정 의결하자는 의견이 나왔으나 재적위원 25인 중 찬성 6인, 반대 15인, 기권 4인으로 부결되면서 윤리특위 구성은 원안대로 가결됐다.

조국혁신당 신장식 의원은 "지난 21대 전반기에는 비교섭단체 소속 의원 2명(류호정 정의당 의원·이태규 국민의당 의원)이 윤리특위 위원으로 활동했다"며 "이번 국회는 비교섭단체 소속 의원이 24명으로 전체 의원의 8%에 달하는데 국민의힘과 민주당을 각 6명으로 적시한 안건은 비교섭단체 소속 의원은 윤리특위 위원이 될 수 있는 걸 원천적으로 차단한다"고 비판했다.

22대 국회 개원 이후 의원 징계안은 29건이 발의됐다.

보좌진 갑질 의혹으로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직에서 자진 사퇴한 민주당 강선우 의원 징계요구안, 대선 TV토론에서 여성 신체 관련 발언으로 논란을 빚은 개혁신당 이준석 대표에 대한 징계요구안 등이 포함돼 있다.

민주당 당 대표 후보로 나선 박찬대 의원이 국민의힘 의원 45명의 제명을 촉구하는 결의안도 계류 중이다. 이는 지난 1월 윤석열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당시 이를 저지하기 위해 한남동 대통령 관저 앞에 집결한 의원들을 대상으로 한 안건이다.

윤리특위가 구성되더라도 의원 제명은 본회의에서 재적 의원 3분의 2(200명) 이상 찬성이 필요한 만큼 실제 제명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윤리특위는 본회의 표결을 거쳐 발족한 이후 인선을 확정할 예정이다.

dy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온다예

온다예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