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춤해진 크레디트 시장…열쇠 쥔 여전채도 기류 변화
광해공단·서교공 엇갈린 투심
레포펀드에서 증권사 북으로, 주도세 끝날까
(서울=연합인포맥스) 피혜림 기자 = 나날이 가산금리(스프레드)를 축소했던 크레디트 시장에 달라진 기류가 감지되고 있다.
스프레드 부담이 드러나면서 최고 신용등급을 자랑하는 'AAA' 공사채를 필두로 투자 심리가 주춤해지는 분위기다.
시장 소화 속도가 느려지면서 시선은 여신전문금융회사채(여전채)로 향하고 있다.
그동안 레포펀드 활황에 힘입어 강세를 주도했던 여전채 시장 분위기에 따라 크레디트물의 방향성이 보합세 혹은 약세로 나뉠 것이라는 설명이다.
다만 여전채 시장 또한 녹록지 않은 실정이다.
발행과 유통 시장의 괴리 속에서 거래량이 줄어들고 있다. 최근 증권사 북으로 소화하는 발행물도 늘면서 여전채 발행시장 또한 변화의 기로에 놓인 게 아니냐는 의견이 나온다.
◇막 내린 무차별 매수…종목·만기 따라 차별화
5일 투자은행(IB) 업계 등에 따르면 전일 'AAA' 한국광해광업공단과 서울교통공사는 채권 입찰을 통해 각각 1천200억원, 1천700억원어치 조달을 확정했다.
광해광업공단은 3년물을 1천200억원어치 찍기로 했다. 스프레드는 동일 만기 민평 대비 3bp 낮은 수준이다. 응찰 규모는 4천억원이다.
반면 서울교통공사는 민평보다 높은 금리로 발행키로 했다.
서울교통공사는 4년물과 7년물을 각각 1천300억원, 400억원어치 찍는다.
스프레드는 4년물과 7년물 각각 동일 만기 'AAA' 특수채 금리 대비 13bp, 10bp 높은 수준이다.
서울교통공사의 경우 입찰 전 거래일 기준 개별민평이 'AAA' 특수채 금리 대비 4년물은 7.8bp, 7년물은 8.1bp 높은 수준이었다.
사실상 민평보다 높은 스프레드로 발행을 마친 셈이다.
앞선 조달이었던 지난달 입찰에서 민평보다 낮은 금리를 형성했던 것과 차이를 보였다.
서울교통공사의 경우 적자 실적 등으로 채권시장에서의 인기가 높지 않다.
동일 등급 특수채 대비 높은 금리를 형성하고 있는 데에서도 이러한 현실이 드러난다.
여기에 선호도가 높지 않은 만기 구간을 설정하면서 광해광업공단 입찰과는 더욱 다른 결과를 낳았다.
광해광업공단의 경우 타 공기업 대비 비교적 높은 수수료를 책정해온 점도 영향을 미쳤다.
이는 그동안 공사채 발행물 대부분이 종목·만기 구간과 무관하게 강세를 이어온 것과는 대조적이다.
크레디트 스프레드 부담이 가시화하면서 차츰 차별화 현상이 드러나고 있다는 설명이 나오는 배경이다.
업계 관계자는 "공사채는 국고채 대비 스프레드가 너무 축소된 상황이라 투자 매력이 옅어졌다"며 "그동안 크레디트 시장 활황 속에서 애매한 구간도 소화가 잘됐지만 이젠 눈치 게임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여전채로 쏠리는 눈…전망은 글쎄
크레디트 시장이 현 수준의 스프레드 유지 혹은 약세로의 변화 기로에 놓인 가운데 시장의 관심은 여전채로 쏠리고 있다.
여전채의 경우 레포펀드가 발행물을 흡수하면서 그동안 크레디트 시장의 강세를 주도해왔다.
여전채가 계속 강세를 이어갈 경우 크레디트 시장의 약세 부담이 덜할 수 있지만 반대의 상황이라면 부담을 가속화할 수 있다.
출처 :연합인포맥스 '종합화면'(화면번호 5000)
하지만 최근 여전채 인기도 주춤하는 실정이다.
발행물만 보더라도 최근에는 증권사 북으로 소화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는 후문이다.
유통시장에서의 약세도 엿보이고 있다.
카드채의 경우 발행시장에서도 민평 수준의 금리를 드러내고 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여전채의 경우 레포펀드에 힘입어 발행시장에서 강세를 이어갔으나 차츰 유통시장에서 오버로 거래되면서 이외 투자자들은 발행물을 외면하는 실정"이라며 "최근 유통물에 대해서도 사자보다는 팔자가 많은 등 분위기가 주춤해진 상황"이라고 전했다.
거래량이 줄면서 방향성 또한 가늠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매수하려는 쪽의 가격이 약하고 매도하는 쪽도 급하지 않은 상황이다 보니 전반적으로 방향성을 살피기 쉽지 않은 상태"라며 "이달 금통위 전까지는 이러한 분위기를 이어가지 않을까 싶다"고 내다봤다.
phl@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