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반토막'에…전략 수정 고려하는 저축은행업계
https://tv.naver.com/h/81662473
(서울=연합인포맥스) 한상민 기자 = 정부의 6·27 부동산 대책 이후로 은행 가계대출이 감소하고 있는 가운데, 신용대출 한도 축소에 직격타를 맞은 저축은행업계가 올 하반기 전략 수정을 고려하고 있다.
연 소득 1배수로 신용대출 한도가 정해지며 신용점수가 낮은 구간에서의 대출 실행을 확장하거나, 여신 포트폴리오 다변화, 수수료 사업 확대 등을 함께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저축은행들은 하반기 신용대출 신규취급액이 축소됨에 따라 경영 전략 수정을 검토하고 있다.
리테일 비중이 높은 일부 대형 저축은행에서는 지난 6·27 대책 이후 7월 한 달간 신용대출이 전월 대비 50% 이상 감소한 것으로 전해진다.
저축은행업계 한 관계자는 "3분기 결산 실적이 나와야 확실히 알겠지만, 영업점 기준 신규 대출액이 50% 이상 하락한 것으로 보인다"며 "신용대출의 승인율도 줄었지만, 신규취급액은 더 크게 하락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소비자포털 공시에 따르면 상위 10개 저축은행(OK·SBI·한국투자·웰컴·애큐온·다올·신한·DB·페퍼·하나저축은행)의 금리 18~20% 구간 신용대출 비중은 6월 평균 20.52%에서 7월 21.05% 수준으로 0.5%포인트 넘게 올랐다.
저신용자 구간에서의 대출 비중이 오르며 저축은행업계가 신용대출 영업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신용평점이 501~600점대 구간에서의 신규취급 비중이 한 달 사이 늘어난 신용대출상품도 나타나고 있다. 한 저축은행의 신용대출 상품은 600점 이하 신용점수에 대한 취급 비중이 한 달 전 대비 1%포인트 넘게 늘기도 했다.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신용 대출 심사기준을 완화하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다"며 "리스크가 있겠지만 보수적인 신용평가모델(CSS) 내에서 폭을 조금만 더 넓히는 방안"이라고 말했다.
다만 저신용등급으로 대출 승인을 확대하면 부실 위험이 덩달아 커질 수 있어 신용대출의 문턱 낮추기에는 자본력과 경영 방향성 등 다양한 방면이 고려될 것으로 보인다.
다른 저축은행업계 관계자는 "많게는 80%까지 신용대출액이 감소하다가 현재는 절반 수준으로 유지되고 있다"며 "그렇다고 해서 막상 신용대출 문턱을 낮추게 된다면 2~3년 후 연체율이 크게 확대될 수 있어 고려하기 쉽지는 않다"고 설명했다.
이에 업계에서는 비용 절감과 함께 기업대출 등 여신 포트폴리오를 다변화하는 방안을 함께 고려하고 있다. 경기 악화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 대출을 늘리는 것도 부담이기에 기업대출 경쟁 등이 심화할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신용대출이 막히면서 기업대출이나 다른 영업을 적극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며 "자동차 담보대출이나 이런 다른 여신 포트폴리오를 넓혀야 할 텐데, 이 또한 플랫폼이 갖춰줘야 해 진입이 쉽지는 않다"고 말했다.
한편 저축은행중앙회는 지난달 초 FAQ 형식의 긴급 간담회를 한 후 추가 간담회 계획하지 않고 있다. 우선 업계 3분기 전체 실적이 나온 후에 6·27 가계대출 규제의 여파를 다시 들여다볼 것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자료사진]
sm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