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석화산업 구조개편 시동…연말까지 업계 자구책 마련한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은별 기자 = 정부가 장기간 부진에 시달리고 있는 석유화학 산업 구조 개편 방향을 확정했다. 업계는 정부 기조에 발맞춘 사업 재편 계획을 연말까지 내놓을 예정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석유화학산업 재도약을 위한 산업계 사업재편 자율협약식'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산업부는 앞서 이날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구조 개편 3대 방향을 발표했다. 과잉 설비 감축, 고부가 스페셜티 제품으로의 전환, 재무 건전성 확보, 지역경제·고용 영향 최소화 등이다.
정부 지원 3대 원칙도 확정했다. 3개 석유화학 산업단지를 대상으로 구조 개편 동시 추진, 충분한 자구노력 및 타당성 있는 사업재편계획 마련, 정부의 종합지원 패키지 마련 등이다.
이날 협약식은 정부의 이런 입장에 발맞춰 석유화학 업계 주도로 추진됐다.
협약식에서 석유화학 업계는 산업계 자율 컨설팅 결과를 반영해 270만~370만톤 규모의 나프타분해시설(NCC) 감축, 고부가·친환경 제품으로의 전환, 지역경제·국민경제에 미치는 영향 최소화 등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자율 협약을 토대로 석유화학 기업들은 설비 감축, 고부가 전환을 통한 경쟁력 강화, 재무구조 개선 등을 포함하는 사업재편계획을 연말까지 마련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이번 협약이 석유화학산업의 구조적 전환기를 맞아 산업계가 자율적으로 선제적 사업재편 의지를 밝힌 것이며, 그간의 버티기 전략에서 벗어나 구조 개편에 본격 시동을 걸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도 향후 업계에서 제출하는 사업재편계획에 대한 타당성 및 기업들의 자구노력을 종합적으로 검토한 후 이에 필요한 금융, 세제, R&D, 규제 완화 등 지원패키지를 마련해 뒷받침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지역경제·고용 충격 완화를 위해 여수시에 이어 서산시를 산업 위기 선제 대응 지역으로 지정할 것을 검토 중이다.
김정관 산업부 장관은 "산업계가 한마음으로 진정성 있게 노력한다면 정부도 그에 상응해 뒷받침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선 자구노력, 후 정부 지원'의 원칙을 강조하며 "책임 있는 자구노력 없이 정부 지원으로 연명하려 하거나, 다른 기업들 설비 감축의 혜택만을 누리려는 무임승차 기업에는 단호하게 대응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ebyu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