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하는 ESG채권…한국형 녹색채권 발행세 속 성장 과제는
금융기관부터 일반기업까지 잰걸음
금리 측면 매력은 아직, 투자 평가 개선 필요성도
(서울=연합인포맥스) 피혜림 기자 = 한국형 녹색채권의 등장으로 환경·사회·지배구조(ESG) 조달에 탄력이 붙는 모습이다. 은행과 카드사, 캐피탈사 등 금융기관은 물론 일반기업까지도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을 이어가고 있다.
18일 연합인포맥스 'ESG채권 발행내역'(화면번호 4410)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전일까지 발행된 녹색채권(그린본드) 규모는 7조3천241억원이었다. 전년 동기(6조3천411억원) 대비 15.5% 늘어난 수치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ESG채권 발행내역'(화면번호 4410)
지난해 연간 녹색채권 발행 규모가 7조4천623억원 수준이었다는 점에서 아직 올해가 두 달여 남았지만 이미 지난해 연간 조달량에 버금가는 물량이 등장했다.
녹색채권 발행은 공기업과 은행, 카드, 캐피탈, 민간기업 등 다양한 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올 초 한국서부발전을 시작으로 한화에너지와 LG에너지솔루션, SK온, 한국수자원공사, 현대카드 등이 조달 바통을 이어받았다.
지난해를 기점으로 국내 녹색채권은 한차원 성장했다. 한국형 녹색채권이 등장하면서 그린워싱(Green washing)에 대한 우려를 완화했다.
한국형 녹색채권은 조달 자금 사용처를 한국형 녹색 분류체계(K-Taxonomy)에 부합하는 사업으로 제한한 것으로, 유럽연합의 그린 택소노미의 한국판 분류 체계다.
환경부와 환경산업기술원의 한국형 녹색채권 발행 활성화 지원사업은 꾸준한 물량 공급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들의 이자 비용 지원 사업에 나서 지난해 25개 기업이 4조6천억원의 녹색채권을 발행토록 유도하기도 했다.
올해도 1차 업무 협약으로 23개 기업이 연말까지 3조9천억원을 조달토록 독려한 데 이어 2차 보전 지원사업 또한 진행 중이다.
다만 녹색채권이 시장에서 자생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의견도 나온다.
이자 비용 지원 등으로 기업들의 관심이 커지긴 했지만, 아직 국내 시장에서는 녹색채권과 일반 채권 간의 가격 차이가 없어 지원 사업 이외의 이점을 누리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업계 관계자는 "녹색채권의 퀀텀 점프를 위해서는 유통시장에서 가격 차이가 생겨야 하지만, 아직 그렇진 않다"며 "기재부가 공공기관 기금 운용 평가 기준에 일정 비중의 녹색채권 의무 보유를 포함하면 국민연금 등의 매수세가 더해지면서 활성화될 수 있겠지만 현재로서는 관련 움직임이 드러나지 않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phl@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