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무궁화신탁 증자 어려우면 매각해야…금융지주 관심 있을 것"
"이미 알려진 위기…금융시장 영향 제한적"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원 기자 = 금융당국이 업계 6위인 무궁화신탁에 경영개선명령을 부과한 가운데 경영정상화를 위해선 제3자 매각이 현실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현 상황을 고려할 때 유상증자나 자회사 매각은 쉽지 않은 시나리오인 만큼, 무궁화신탁 대주주가 보유한 지분을 금융지주 등에 매각하는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는 게 금융당국의 판단이다.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27일 정례회의 결과 브리핑을 통해 "자체 증자는 어려워 보이고 주간사 선정도 완료되지 않아 자회사 매각 또한 단기간 내엔 쉽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부동산 신탁사에 대한 잠재 수요는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충분한 만큼 제3자 매각은 가능한 시나리오라는 게 권 처장의 판단이다.
현재 NH농협금융과 Sh수협, JB금융지주, BNK금융지주, DGB금융지주 등은 자회사 형태로 신탁사를 보유하지 않고 있다.
권 처장은 "무궁화신탁은 자체적 노력을 해왔지만 현재는 한계에 봉착했다"며 "빨리 독립적인 실사 법인을 선정해 법률적·재무적 리스크를 해소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수·합병(M&A) 또한 결국은 가격이 문제일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번 적기시정조치는 지난 9월 말 기준 무궁화신탁의 영업용순자본비율(NCR) 비율이 69%로 경영개선명령 기준인 100%에 미달하면서 부과됐다.
다만, 무궁화신탁이 자체적으로 NCR이 125% 수준이라고 공시했다는 점에서 허위보고 논란도 나왔다.
권 처장은 "페어 밸류(공정가치)를 평가하는 데 대한 견해는 다를 수 있다. 특정 항목을 평가하는 데 있어 무궁화신탁과 금융감독원의 견해 차이가 있었던 것으로 안다"고 했다.
금감원 관계자 또한 "이 건은 고의적이라고 단정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다"며 "감독당국이 생각하는 기준에 맞지 않았기 때문에 나온 상황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권 처장은 무궁화신탁의 위기가 부동산신탁업은 물론, 금융시장 전반으로 확대될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강조했다.
그는 "무궁화신탁 위기의 원인은 책임준공인데, 대부분의 독립형 신탁사들은 일반관리형을 주로 하면서 낮은 수수료를 받는 모델을 활용한다"며 "다만 무궁화신탁은 지난 2019년도에 679억원 수준이었던 책준을 2022년엔 1조원까지 늘리면서 문제가 됐다"고 했다.
이후 시장에 늦게 진입한 지주 산하 신탁사들도 책준 비중이 높은 편이지만, 지주 차원의 증자를 통해 위기는 모두 넘긴 상황이다.
올들어 우리금융은 2천100억원, KB금융은 3천200억원, 신한금융은 2천500억원의 자금을 계열 부동산신탁에 투입했다.
그러면서 권 처장은 "무궁화신탁의 어려움은 오랜 기간 알려져 있어서 다들 주시했던 상황이라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도 제한적이라고 판단한다"고 덧붙였다,
jw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