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0 시작…1기 아웃퍼폼 섹터는 IT"

2025.01.16 10:08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트럼프 2.0 시작…1기 아웃퍼폼 섹터는 IT"



(서울=연합인포맥스) 한상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의 2기 행정부 출범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다.

과거 트럼프 1기 당시 행정명령에 수혜를 입었던 금융, 산업재, 에너지 섹터가 다시 주목받을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온다. 취임 후 1년간 가장 아웃퍼폼했던 섹터는 정보기술(IT)인 만큼 기술주를 중심에 둬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황수욱 메리츠증권 연구원은 16일 "취임일부터 당장 정책 드라이브가 걸리는 액션은 행정명령"이라며 "2017년 1월 트럼프 취임식 이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23.7% 상승했고, IT 섹터는 47% 올랐다"고 설명했다.

황 연구원은 트럼프 1기 당시 첫 100일간 총 33건의 행정명령에 트럼프가 서명한 점에 주목했다. 이는 다른 미 대통령들이 같은 기간 평균 15건의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 대비 높은 수준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오는 20일 해양 토지 시추 제한 해제, 화석에너지 규제 완화, 자동차 배기가스 규정 철회 등이 행정명령으로 서명될 것으로 전망된다.

황 연구원은 "매크로 관련 어젠다가 집권 초기에 집중될 수 있다"며 "이에 따라 수혜를 볼 수 있는 금융, 산업재, 일부 에너지 섹터는 트럼프 1기 초기와 마찬가지로 기회가 생길 수 있다"고 전망했다.

1기 행정부에서는 기술주 성장도 두드러졌다. 클라우드 산업 성장을 중심으로 반도체 업황 회복 등이 잇따르며 정보통신 부문은 아웃퍼폼했다.

황 연구원은 인공지능(AI) 기술주의 성장 로드맵이 그려나가질 예정인 만큼 미 기술주를 중심으로 금융 섹터 선호를 고수했다.

그는 "기술 산업 지원은 트럼프가 중국과 무역분쟁을 본격화한 2018년 하반기부터 시작됐다"며 "중국과 기술 경쟁 구도가 트럼프 1기보다 뚜렷해져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 취임식 군악대 리허설





sm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한상민

한상민

돈 버는 증권 정보 더 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