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 연체율 두 달 만에 하락 전환…작년 12월 0.44%
(서울=연합인포맥스) 윤슬기 기자 = 은행권이 작년 말 연체 채권 정리에 속도를 내면서 원화대출 연체율이 두 달 만에 하락했다.
17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말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44%로, 전월 말(0.52%) 대비 0.08%포인트(p) 하락했다.
연체율은 지난해 10월 0.48%, 11월 0.52% 등 두 달 연속 상승세를 보였으나 은행권이 작년 말 연체채권 정리규모를 늘리면서 다시 하락세로 돌아섰다.
통상 은행들은 연체율을 관리하기 위해 매 분기 말 3개월 이상 연체된 부실 대출채권을 장부에서 상각하거나 자산유동화전문회사 등에 매각한다.
12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전월(2조8천억원) 대비 3천억원 감소한 2조5천억원이었다.
연체채권 정리규모는 전월(2조원) 대비 2조3천억원 늘어난 4조3천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신규연체율은 0.10%로 전월(0.12%) 대비 0.02%p 하락했다.
기업대출 연체율도 같은 기간 0.50%로 전월 말(0.60%) 대비 0.10%p 떨어졌다.
대기업대출 연체율은 0.03%로 전월 말(0.03%)과 유사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과 중소법인 연체율도 전월 말 대비 각각 0.13%p, 0.14%p 하락해 0.62%, 0.64%를 기록했다.
가계대출 연체율 역시 전월 말 대비 0.03%p 하락한 0.38%로 나타났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6%로 전월 말(0.27%) 대비 0.01%p 떨어졌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의 연체율은 같은 기간 0.08%p 하락해 0.74%였다.
금감원은 "대내외 불확실성에 대비해 은행권이 연체 우려 취약차주에 대한 채무조정을 활성화하도록 유도하겠다"며 "적극적인 부실채권 상·매각 및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을 통해 자산건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sgyoo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