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CG "美반도체법 폐지 어려울 것…25% 관세는 협상용"(종합)
"韓 IDM 외에 팹리스·소부장도 美 진출 길 열릴 것"
"반도체 관세 부과 시 美 기업 악영향…협상거리 찾을 듯"
(서울=연합인포맥스) 김학성 기자 = 미국에 투자하는 반도체 기업에 인센티브를 주는 반도체법(CHIPS Act)이 도널드 트럼프 정부에서 다소 변화될 수는 있겠지만 폐지까지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오는 4월 반도체에 최소 25%의 관세 부과를 발표하겠다고 밝힌 것은 협상을 위한 전략으로 평가됐다.
김창욱 보스턴컨설팅그룹(BCG) 파트너는 19일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세미콘 코리아 2025' 부대행사 '미국 투자 포럼'에서 "트럼프 대통령도 미국에 계속 일자리와 생산 시설을 만들겠다는 것은 (전임 조 바이든 정부와) 다르지 않다"며 이렇게 말했다.
[출처: 연합뉴스 자료사진]
먼저 그는 바이든 정부가 2022년 입법한 반도체법이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평가했다. 지난해 8월 미국 정부가 발표한 내용에 따르면 반도체법은 미국에 3천950억달러의 투자를 일으켰고 11만5천개의 일자리를 만들었다.
김 파트너는 최근 한국 기업들로부터 트럼프 정부에서 반도체법이 폐지되는 것 아니냐는 문의를 많이 받는다면서 그럴 가능성은 높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정확한 추정은 어렵지만 법으로 만든 걸 취소하기엔 굉장한 노력과 논란이 야기되기 때문에 쉽게 철회하지는 못할 것"이라며 "또 주요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많은 지역이 공화당 우세 지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공화당의 반대를 무릅쓰며 취소하기보다는 어느 정도 개정은 있겠지만 (반도체법을) 계속 유지하고 독려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정부가 연방정부 지출 축소에 열을 올리고 있음을 감안하면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도 타깃이 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 바 있다. 최근에는 최종 계약까지 마친 반도체법 보조금에 대해 트럼프 정부가 재협상을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지기도 했다.
국내 기업으로는 삼성전자[005930]와 SK하이닉스[000660], SKC[011790]의 유리기판 자회사 앱솔릭스가 트럼프 정부 출범 전 바이든 정부와 최종 보조금 계약을 체결했다.
김 파트너는 향후 반도체 제조기업 외에 국내 팹리스(반도체 설계 전문 회사)와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의 미국 진출도 원활해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지난해 7월 공화당과 민주당의 초당적 합의가 있었지만 당시 정치 상황 탓에 통과되지 못했던 반도체 기술 진보와 연구법(STAR Act)을 언급하면서 대형 팹이 없는 기업도 향후 미국 사업을 지원받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김 파트너는 미국 기업들과 이야기해보니 중소형 종합반도체기업(IDM)에 대한 도움과 전문 인력 부족을 호소한다면서 이 부분에서 한국 기업에 기회가 열릴 것으로 봤다.
[윤해리 제작] 일러스트
코엑스 내 다른 장소에서 열린 '마켓 트렌드 포럼'에서도 발표에 나선 김 파트너는 트럼프 대통령이 전날(현지시간) 반도체 수입품에 25% 이상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힌 것과 관련, 실현 가능성이 높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김 파트너는 "트럼프는 (상대방에) 큰 걱정거리를 안겨놓고 협상거리를 찾는다"며 "25% 관세가 부과됐을 때 실제 미국이 받을 이득이 그렇게 클 것 같지 않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당장 애플 같은 큰 기업이 영향을 받는다. 데이터센터에 투자하는 '하이퍼 스케일러'가 받아들일 수 있을까"라고 덧붙였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25% 관세 부과라는 카드를 던진 뒤 상대국과의 거래를 요구할 것으로 전망했다.
김 파트너는 국내 반도체 기업들에 관세 부과에 따른 시나리오 수립과 미국 정부 인사와의 네트워크 강화, 공급망 관리 등을 제언하면서 이제는 미국과 중국 사이에서 양자택일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hskim@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