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키워드①] 관세에 쏠린 눈…사법 불확실성도 가중
(서울=연합인포맥스) 정필중 한상민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취임 이후 국내 언론이 주목하는 부분은 다름 아닌 '관세'로 나타났다.
동시에 국내 언론은 행정명령 등에도 많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행정명령을 통한 트럼프 대통령의 광폭 행보 외에도 이에 제동 거는 사법부에도 시선이 쏠리는 모습이다.
연합인포맥스는 20일 언론진흥재단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 '빅카인즈'를 통해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국내 언론 보도를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과 관련된 올해 1천여건 이상의 뉴스를 분석했고, 빅카인즈는 해당 뉴스에 가중치를 둬 연관 키워드를 도출했다.
'트럼프', '미국'이라는 단어를 넣어 분석한 결과 연관 키워드로 중국(88.62), 캐나다(71.67), 멕시코(64.64) 등이 제시됐다. 취임식(65.2) 등은 제외했다.
출처: 빅카인즈
지난해 하반기 기준 취임 전 트럼프 대통령을 둘러싼 키워드로는 유죄평결(62.56), 여론조사(59.77), 형사재판(33.56) 등이 꼽혔다.
유죄평결과 형사재판은 '성 추문 입막음 돈' 의혹 사건을 의미한다. 이와 관련된 추문들이 연이어 나오면서 대통령 자질에 대한 관심이 커졌던 것으로 해석된다.
취임 전에는 대통령 자질에 관심이 커졌다면, 취임 이후에는 그의 행보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키워드 중 하나인 중국은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전부터 줄곧 언급해왔던 국가였다. 바이든 행정부 역시 중국산 전기차 대상으로 관세를 대폭 인상한다고 말하는 등 중국은 초당적 견제 대상으로 지목돼 왔다.
이외에도 앞서 언급된 캐나다, 멕시코는 전부 관세 대상으로 트럼프 대통령이 점찍은 나라들이기도 하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 멕시코에 대한 보편 관세 25%, 중국 대상으로는 10%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힌 바 있다.
미국 내에서 이를 환영하는 목소리만 있진 않았다. 미국 철강노조(USW)는 "매년 약 1조3천억달러 상당의 제품이 캐나다, 미국 국경을 지나 140만개의 미국 일자리와 230만개의 캐나다 일자리를 지원한다"며 "이러한 관세는 캐나다에만 피해를 주는 게 아니라 국경 양쪽의 산업 안정성을 위협한다"고 우려를 표했다.
이틀 뒤인 지난 4일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를 한 달간 유예키로 했다. 대신 중국에 대한 10% 추가 관세는 예고대로 발효됐다.
게다가 트럼프 대통령은 최근 자동차 등 일부 품목에 25% 정도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혀 관련 산업 국내 기업들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동시에 언론이 주목하는 부분이 하나 있었다. '행정명령'(62.59)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으로 광폭 행보를 보였다.
관세에 대한 행정명령은 물론, 개인의 총기 보유 권리 보장과 더불어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 정책을 정부와 군대 내에서 전면 금지하는 등 바이든 행정부의 색깔을 지우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이 추진하는 정책 중 일부는 사법부의 제동에 걸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합법 영주권자가 아닌 이들을 대상으로 출생시민권을 제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으나, 연방법원이 위헌적이라며 일시적인 효력 정지 결정을 내렸다.
뉴욕 남부연방법원은 정부구조조정을 담당한 정부효율부(DOGE)에 부여된 재무부 결제 시스템 접속 권한을 일시 중지하기도 했다.
일각에서는 행정부와 사법부 간 대립이 심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뉴욕타임스(NYT)는 지난 10일 로드아일랜드 연방법원의 존 매코널 판사가 정부 보조금 사업 지출 중단을 복원하라는 법원의 판결 이행을 촉구한 것과 관련해 "행정부와 사법부 간의 첨예한 대립으로 빠르게 발전할 수 있는 국면의 시작을 알렸다"고 평가했다.
한편, 위의 단어 외에도 우크라이나(37.98), 비트코인(34.38), 김정은(33.13) 등이 연관 키워드로 뒤이어 제시됐다.
joongjp@yna.co.kr
sm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