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로벌 자동차 회사 스텔란티스(NYS:STLA)가 캐나다에 있는 지프 생산공장 가동을 일시 중단한다. 20일(현지시간) 오토모티브 뉴스 등에 따르면 스텔란티스 대변인은 이날 "우리는 북미에서 제품 전략을 계속 재평가하고 있다"면서 브램턴 조립 공정과 차세대 지프 컴패스 모델에 대한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한다고 밝혔다. 다만, 공장 가동 중단 이전에 발표한 투자계획에 변화를 주지 않는다고 부연했다.
▲[뉴욕환시] 달러, 美 재무 발언에 급락…DXY 2개월여 최저
- 미국 달러화 가치가 급락했다.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이 장기물 국채 비중 확대에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히는 한편으로 현재 달러에는 관세 재료가 어느 정도 반영됐다고 평가한 영향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화 가치를 보여주는 달러인덱스(DXY)는 2개월 여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하락했다.
▲뉴욕증시, 월마트가 시사한 소비심리 악화…다우 1.01%↓ 마감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하락으로 마감했다. 미국 소매 부문을 대표하는 월마트가 실망스러운 실적 전망치를 내놓은 데다 경기선행지수도 악화하면서 고점 부담 속 매도 심리가 강해졌다. 2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50.94포인트(1.01%) 내린 44,176.65에 거래를 마감했다.
▲[뉴욕증시-1보] 월마트가 시사한 소비심리 악화…동반 하락
-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모두 하락으로 마감했다. 미국 소매부문을 대표하는 월마트가 실망스러운 실적 전망치를 내놓은 데다 경기선행지수도 악화하면서 고점 부담 속 매도 심리가 강해졌다. 20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장 마감 무렵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450.69포인트(1.01%) 밀린 44,176.90에 거래를 마감했다.
▲[뉴욕유가] WTI 0.4%↑…러 송유관 피격 여파 속 약달러 영향
- 러시아 송유관 피격으로 카자흐스탄 원유 수출에 차질이 생긴 가운데 달러 약세가 더해지면서 국제유가가 상승했다. 20일(현지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근월물인 3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장 72.25달러 대비 0.32달러(0.44%) 상승한 배럴당 72.57달러에 거래를 마감했다. 글로벌 벤치마크인 브렌트유 4월 인도분은 전장보다 0.44달러(0.58%) 오른 76.48달러에 마무리됐다.
▲오픈AI CFO, 상장 가능성 내비쳐…"엄청난 관심 받고 있다"
- 미국 인공지능(AI) 산업의 선두주자 오픈AI가 상장 가능성을 내비쳤다. 오픈AI의 사라 파라이어 최고재무책임자(CFO)는 20일(현지시간)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우리와 같은 주식에 지불하는 멀티플을 고려해보면 현재 사람들이 엄청난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우리가 가진 미래 성장 잠재력 덕분에 오픈AI의 기업 가치는 우리가 달성하고 있는 규모의 성장률과 맞먹는다"고 말했다.
▲애틀랜타 연은 총재 "올해 금리인하 2번 예상…불확실성은 매우 커"
- 래피얼 보스틱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총재는 20일(현지시간) 올해 25bp씩 두 번 인하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 기본 예상"이라고 말했다. 보스틱 연은 총재는 이날 기자들과 컨퍼런스 콜에서 이렇게 말하며 "그에 대한 불확실성은 매우 크고 양방향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이 많이 있다"고 조심스러워했다. 보스틱 총재는 이날 내놓은 에세이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이민ㆍ무역 정책을 우려했다. 보스틱 총재는 이달 초에 에세이를 작성했다.
▲팔란티어, 이틀째 10%대 급락세…악재 연발
- 미국 인공지능(AI) 데이터 분석업체 팔란티어(NAS:PLTR)의 주가가 이틀 연속 10% 넘게 급락하고 있다. 주요 고객처인 미국 국방부가 국방 예산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는 소식과 최고경영자(CEO)의 지분 매각 계획이 주가를 짓누르는 것으로 풀이된다.
▲美 1월 경기선행지수 전월비 0.3%↓…3개월 만에 하락 전환(상보)
- 미국의 경기선행지수(LEI)가 지난 1월에 하락하며 직전 두 달간의 상승분을 대부분 반납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분석기관 콘퍼런스보드는 20일(현지시간) 1월 미국 경기선행지수가 전월 대비 0.3% 하락한 101.5(2016=100)를 기록했다고 발표했다. 이는 12월 0.1% 상승 이후 감소세로 전환된 것이다. 12월 수치는 기존 -0.1% 하락에서 0.1% 상승으로 조정됐다. 1월 수치는 연합인포맥스의 시장 예상치(화면번호 8808) 0.1% 하락과 비교해도 악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