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취임 후 첫 미 정부 고용보고서…관세 격변 속 향방은

2025.03.07 15:07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트럼프 취임 후 첫 미 정부 고용보고서…관세 격변 속 향방은







(서울=연합인포맥스) 정윤교 기자 = 미국 정부가 오는 7일(현지시간 기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재집권 이후 첫 공식 고용보고서를 내놓는다.

미국의 2월 고용 시장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격변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유지됐을 것으로 분석된다.

7일 연합인포맥스 실시간 경제지표(화면번호 8808)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비농업 고용자 수는 16만 명 늘어나 1월 수치(14만3천 명)를 상회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2월 실업률은 4.0%를 유지했을 것으로 관측된다.

시간당 평균 소득은 0.3% 늘어나며 지난 1월의 0.5% 증가에 확대됐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매우 완만한 속도이긴 하지만 미국 경제가 계속 확장되고 있음을 시사할 것으로 보인다.

연간 임금 상승률은 4.1%로 지난 1월의 상승률과 같을 것으로 관측된다.

고용 시장이 안정세를 보이면 당국자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과 이민 단속의 경제적 영향을 모니터링하는 사이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수 있는 시간을 벌어줄 수 있다.

다만 고용시장에 드리운 불확실성도 만만찮다.

지난달 비농업 고용자 수 추정치 범위는 3만 명에서 30만 명까지 그 어느 때보다도 넓게 제시됐다.

지난 1월 캘리포니아 로스앤젤레스(LA)를 뒤덮은 대형 산불과 미국 전역의 겨울 폭풍 등으로 인한 불확실성을 반영하면서다.

일부 이코노미스트들은 LA 산불과 겨울 폭풍 등으로 인한 피해의 영향이 2월로 지연돼 급여 반등세를 제한할 수 있음을 우려하고 있다.

최근 무역전쟁 불확실성이 커지고 연방정부 지출이 삭감되면서 향후 몇 달 동안 고용시장 회복력이 약해질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미국 노동부의 이번 2월 고용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월 20일 취임한 후 처음으로 나오는 정부 고용 지표다.

월가 이코노미스트들은 관세를 둘러싼 오락가락한 트럼프 행정부의 대응으로 인해 기업들이 미리 계획을 세우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입을 모은다.

미국 기업과 소비자 신뢰도 지표는 지난 1월 하락세로 돌아서며 작년 11월 트럼프 대통령의 대선 승리 이후 상승세에서 반전됐다.

최근 뉴욕 증시도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불확실성에 혼란스러워하며 폭락세를 나타내고 있다.

워킹네이션의 수석 정책 고문인 제인 오츠는 "고용주들이 제일 싫어하는 것은 규제든 공급망이든 불확실성 그 자체"라며 "업계 분위기가 정말 안 좋다. 추악한 봄을 맞이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효율부(DOGE) 반대 시위대

연합뉴스 자료 사진





정부효율부(DOGE)의 공무원 대량 해고는 대부분 조사 주간 외에 이뤄졌기 때문에 2월 수치에는 반영되지 않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트럼프 행정부의 고용 및 정부 보조금 지출 동결은 최근 몇 년간 미국 일자리 성장세의 주요 동력 중 하나였던 정부 고용에 압박을 가했을 가능성이 있다.

웰스파고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마이클 푸글리시는 "고용 동결이 주로 반영된 연방정부 고용이 5천~1만 명 정도 감소하더라도 놀라지 않을 것"이라며 "3월 일자리 보고서에서는 연방정부 고용이 더 크게 감소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

앞서 백악관 예산관리국은 지난 1월 28일을 기해 연방정부 차원의 보조금 및 대출금 지출을 잠정 중단한다고 정부 각 기관에 통보한 바 있다.

이에 민주당 소속 주지사가 정부를 이끄는 22개 주들의 법무장관들이 이 같은 연방정부 조치를 중단해달라며 소송을 제기했다.

정부 자금 동결 조처가 내려졌다가 중단되면서 연방 보조금을 받는 기관의 일부 계약업체와 직원들은 일자리를 잃었다.

최근 일자리 증가세의 대부분이 레저 및 접객업 등 저임금 산업에 집중돼왔던 만큼 이코노미스트들이 말하는 '화이트칼라 불황' 현상이 더욱 심화했을 수 있다.

브라이언 베쑨 보스턴 갈리지 경제학 교수는 "미국 경제는 코로나19 팬데믹 회복 주기 동안 놀라울 정도로 탄력적인 모습을 보여줬지만, 현재 기업들은 큰 충격을 받고 있다"며 "예산 불확실성과 1930년 스무트-하울리 관세법 이후 가장 파격적인 관세 정책 등으로 인해 큰 충격이 기업에 닥치고 있다"고 말했다.

ygjung@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정윤교

정윤교

돈 되는 경제 정보 더 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