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의 철칙 '고객 우선주의'…미래에셋證, 상품 심의 대상 늘렸다
영업점에 '암행어사' 나간다…10년 경력 PB로 꾸려진 '소비자 보호 오피서' 운영
(서울=연합인포맥스) 박경은 기자 = 미래에셋증권이 올해 초 '고객 보호 선언'을 공표한 데 이어 회사를 거쳐 나가는 모든 상품에 보다 깐깐한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투자자가 이해할 수 있는 상품만, 안전하게 팔아야 한다'는 박현주 회장의 의지가 담긴 변화로 풀이된다.
미래에셋증권은 개발-판매-사후 관리로 이어지는 상품 유통의 전 과정에 관리 체계를 고도화했는데, 특히 첫 단계인 상품 개발단에서부터 꼼꼼한 피드백이 이뤄지고 있다.
16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미래에셋증권의 올해 상품 심의 건수는 기존 대비 30% 증가했다.
상품 개발이 전년 대비 활발해진 영향도 있지만, 무엇보다 심의 테이블에 올라오는 상품의 영역을 넓히기로 한 게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올해 심의 대상을 확대 적용해 새롭게 진행한 심의 건수도 전체의 56%를 차지한다.
미래에셋증권은 그간 고객에게 배포되는 설명서를 대상으로만 심의를 진행해왔다. 다만 최근에는 직원용 사내 제안서, 외부에서 작성된 고객용 설명서 등도 심사 대상으로 올려 대상을 넓혔다. 사모펀드, 투자조합신탁, IB 연계 상품 등 고객이 이해하기 어렵거나 투자위험이 높은 상품에 더욱 엄격한 기준을 적용한 셈이다.
미래에셋증권은 그간 대표이사 직속으로 소비자보호조직을 두고 상품 출시 및 유통과 관련한 전 과정을 챙겨왔다. 현재 김미섭 부회장이 위원장으로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위원회를 챙기고 있다. 산하의 금융소비자 보호 총괄책임자(CCO)는 권오만 본부장이다.
권 본부장 직속으로는 금융소비자보호 내부통제 소위원회, 고난도상품승인위원회, 소비자보호 상품협의회 등 세 곳의 협의체가 있다.
그간 박현주 회장은 금융사의 이익을 위해 변동성 높은 고난이도의 상품으로 고객을 현혹해서는 안 된다는 철학을 꾸준히 알려왔다. 올해 초 미래에셋증권이 고레버리지, 인버스 상장지수펀드(ETF) 등 고위험 상품을 추천하지 않고, 복잡한 구조의 상품에 대해선 고객에게 보다 상세히 위험 요소를 설명하겠다는 내용의 고객 보호 선언을 공표한 것과 연결되는 지점이다.
상품 출시 전 단계를 챙기는 것과 더불어 미래에셋증권은 영업점에서의 불완전 판매를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도 강화했다.
미래에셋증권은 불완전판매 예방 교육을 담당하는 '소비자보호 오피서' 제도를 도입해 운영 중이다. 금융소비자보호본부 내 오피서로 활동하는 직원들은 영업 경력만 10년 이상의 베테랑 PB 출신이다. 10여년간 가장 가까이에서 고객을 만나온 만큼, 금융소비자보호법에 능통한 데다 영업점의 생리에도 밝다.
5명의 소비자보호 오피서는 매년 전국의 영업점을 방문해 상품 판매와 관련해 지점에서 놓칠 수 있는 부분들을 점검하고, 고객 응대 과정 중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살핀다. 특히 표준 판매 프로세스 준수 여부를 따져 필요시 일대일 교육을 실시하는데, 지난해에도 60여개 지점이 현장점검을 받고 교육을 이수했다.
또한 2022년에는 전 임직원이 완전판매 절차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완전판매 실무 바이블'을 발간했다. 회사는 2024년에도 최신 법규와 기준을 업데이트해 올바른 판매 프로세스 문화가 현장에 정착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미래에셋증권은 2023년 금융감독원 실태평가에서 최상위 평가인 '종합등급 양호'를 받기도 했다. 업계에서 이 등급을 받은 곳은 미래에셋증권이 유일하다.
[출처 : 미래에셋증권]
gepark@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