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리츠업계, '100% 환헤지' 관행 완화 요구…당국도 공감
(서울=연합인포맥스) 한종화 기자 = 환율 급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해외부동산리츠(REITs) 업계에서 환헤지 비율의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해외부동산리츠 시장이 처음 형성될 당시에는 해외 자산에 대해 100% 환헤지를 하자는데 당국과 업계의 공감대가 있었지만, 리츠 운용이 성숙기에 진입하면서 환율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21일 리츠업계에 따르면 대부분의 해외부동산리츠 운용사들은 현재 관행상 100%를 유지하고 있는 해외 자산의 환헤지 비율을 완화해야 한다는 입장인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발(發) 상호관세 부과와 국내의 계엄-탄핵-조기 대선 국면이 이어지면서 달러-원 환율이 급등했고, 이에 따라 리츠운용사들이 환헤지 계약을 연장할 때 지불해야 할 정산금이 눈덩이처럼 불어났기 때문이다.
실제로 오는 7월과 8월 환 헤지 계약의 만기를 앞두고 있는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는 환율이 1,450원 수준일 경우 계약을 맺은 SC제일은행과 신한은행에 총 230억원의 차액 정산금을 지급해야 한다.
최근 들어 환율이 1,415원 수준으로 내려왔고, 신한글로벌액티브리츠가 자산도 일부 매각해 실제 정산금은 이보다 훨씬 낮을 것으로 예상됐다.
정산금 부담은 어느 한 운용사만의 문제가 아니라 해외부동산에 투자한 리츠라면 예외가 없는 상황이다.
2019년경 우리나라 해외부동산리츠 시장이 형성될 당시부터 지금까지 환위험은 전부 헤지하는 것이 업계의 관행이었다.
해외부동산리츠 관계자는 "당시에는 인가를 받으려면 환헤지를 100%를 해야 한다는 공감대가 있었다"며 "그런데 당시보다 환율이 오르면서 정산금 규모가 매우 커진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른 리츠 관계자도 "처음 상장·설정 당시에는 관행상 헤지를 하는 분위기가 있었다"며 "리츠 업계에서 자율적으로 환오픈을 할 수 있는 분위기는 아니었다"고 전했다.
리츠 업계는 융통성 없는 100% 헤지는 리츠 업계의 운용 역량을 제약하는 측면이 있다고 호소했다.
해외 자산에 대규모로 투자하는 국민연금 등 다른 기관들도 환오픈을 하고 필요한 경우 전략적으로 환헤지를 하고 있는데, 이를 차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다.
국민연금은 기본적으로 해외투자 자산에 대해 환오픈을 하고 있으며, 해외투자 자산의 최대 15%까지 전략적·전술적 환헤지를 할 수 있다.
또 다른 리츠 관계자는 "현재 해외부동산리츠들의 주가가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시장 환경이나 정책 부분에서 아쉬운 점이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적절한 헤지 비율은 50% 정도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당국도 상황을 인식하고 있으며 환헤지 비율을 조정하는 문제에 대해 논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당국은 리츠들이 해외 부동산을 적절하게 매입했는지, 투자자 보호를 잘하고 있는지 등을 봐야지 경영 관련 내용에 대해 이래라저래라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외부동산리츠가 환헤지 정산금 문제를 겪는 것은 알고 있다"며 "환헤지 전략도 시장 상황에 따라서 고민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원칙은 투자자들에게 안정적으로 배당을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를 짜고 리츠를 경영해야 한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출처 : 연합인포맥스]
jhhan@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