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반도체·의약품 美관세 영향 최소화 위해 면밀히 대응"
(서울=연합뉴스)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인 김범석 제1차관이 12일 정부세종청사 중앙동에서 열린 '제4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전담반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2025.5.12 [기획재정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photo@yna.co.kr
(세종=연합인포맥스) 최욱 기자 = 정부는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 주재로 제4차 통상현안 관련 범정부 국내대응 태스크포스(TF) 회의를 열어 미국의 관세 부과에 대한 품목별 영향을 점검했다.
회의에는 과학기술정부통신부, 농림축산식품부, 산업통상자원부, 보건복지부, 해양수산부, 중소벤처기업부, 고용노동부, 금융위원회 등 관계부처가 참석했다.
참석자들은 최근 미영 무역협상 타결, 미중 무역협상 진행, 의약품 관세 부과 예고 등 관세 관련 글로벌 논의가 구체화되는 가운데 우리도 주요 분야별 국내 영향과 품목별 관세에 대한 준비가 중요하다고 공감했다.
먼저 품목별 관세 부과 대상으로 언급된 반도체의 경우 우리의 글로벌 최대 수출 품목인 만큼 미국 측에 적극적 소통 및 대응이 중요하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
의약품에 대해서도 미국이 우리 의약품 최대 수출국인 만큼 수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면밀히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농수산식품과 관련해선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높지 않지만 농어민들의 매출 감소로 어려움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국내 영향을 분석하고 농식품 수출 정보 데스크 운영 등 대미 수출 애로 해소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다.
특히 수산식품 중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김·굴 등 주요 품목의 경우 동향을 더욱 긴밀히 모니터링할 예정이다.
이날 회의에서는 이번 추가경정예산안에 포함된 관세피해·수출기업 지원 사업들의 집행 계획도 점검했다.
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