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IRA 수정안 확정되면 전기차 역성장 불가피"
국내 배터리 기업, 실적 전망치 하향 가능성
(서울=연합인포맥스) 서영태 기자 = 미국 의회에서 발의된 인플레이션감축법(IRA) 개편안이 통과될 경우 내년 미국 전기차 시장이 역성장하고, 국내 배터리 기업 실적 전망치가 낮아진다는 의견이 나왔다.
주민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14일 IRA 수정 제안서 초안에 관해 "전반적으로 시장에서 예상했던 수준"이라면서도 "확정시 2026년부터 역성장이 불가피하다"고 전망했다.
앞서 미국 하원 세입위원회는 IRA 전면 개편을 위한 제안서 초안을 발표했다. 이 안건은 5~6월 상원과 하원 의결 이후 7월 내 대통령 서명을 통해 확정될 전망이다.
초안에 따르면 신차 기준 최대 7천500달러인 전기차 구매세액공제는 2025년 12월 31일부로 종료된다. 2010~2025년 누적 판매가 20만 대 미만인 제조사의 차량은 2026년 말까지 세액공제 혜택을 예외적으로 유지한다.
주 연구원은 "주요 완성차 업체의 경우 대부분 누적 20만대 이상을 판매했으므로 사실상 구매 보조금은 올해 말까지 지급된다"며 "보조금 폐지로 실구매가격이 올라가게 되면 미국 전기차 시장은 2026년 역성장이 불가피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미국 전기차 시장 역성장은 우리나라 2차전지산업에 악재다.
NH투자증권은 구매세액공제 축소를 가정해 2026년 판매가 전년 대비 마이너스(-) 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으나, 구매세액공제가 폐지될 경우 관세 부과와 맞물려 -10% 역성장할 것으로 내다봤다.
실제로 독일의 경우 2023년 12월 전기차 보조금 폐지 발표 이후 2024년 전기차 판매가 18% 감소했다.
IRA 수정안은 생산세액공제(AMPC) 조기종료도 내용에 담았다. 기존 법안에서 2033년에 종료하기로 한 생산세액공제를 2032년에 끝내는 방안이다. 미국에 생산시설을 짓는 한국 배터리 기업이 세액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을 줄이는 것이다.
주 연구원은 "종료 시점만 1년 당겨졌을 뿐 생산세액공제는 이어진다"면서도 "구매세액공제 폐지로 인한 수요 둔화로 생산 역시 위축될 것으로 예상돼 배터리 셀 업체들의 세액공제 혜택은 수요에 비례해 감소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국내 2차전지산업은 수정안 통과 여부를 지켜볼 것으로 보인다.
주 연구원은 "연초 이후 유럽의 전기차 판매 강세가 이어지고 있지만, 시장은 미국의 하방 리스크에 대한 우려가 더 크다"고 말했다.
그는 "판매량 기준으로 보면 국내 배터리 3사 중 LG에너지솔루션과 삼성 SDI는 미국보다는 유럽향 판매 비중이 크지만 AMPC까지 고려하면 미국 노출도가 더 크다"며 "이번 초안이 확정되고 난 뒤 종합적인 실적 전망치 하향 조정이 나타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ytse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