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은 지금] 亞통화 절상압력…국민연금은 어떻게 볼까

2025.05.19 08:00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미국 트럼프 관세 정책 (PG)

[김선영 제작] 일러스트

[뉴욕은 지금] 亞통화 절상압력…국민연금은 어떻게 볼까





(뉴욕=연합인포맥스) 최진우 특파원 = "그래서 결국 국민연금은 아시아통화 절상 압력 이슈를 어떻게 보고 있는 겁니까"

최근 들어 뉴욕 금융시장에서 생각보다 자주 언급되는 이야기다.

이들의 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2주 전으로 시간을 돌려야 한다. 이른바 대만달러 급등 사건이다.

달러-대만달러 환율은 지난 2일 하루에만 30.751달러에 종가가 찍히며 전날 대비 4.37% 급락했다.

그다음 거래일에는 5.02% 빠지며 이틀 동안 달러-대만달러 환율은 9% 넘게 빠졌다. 대만 중앙은행이 환율을 매우 엄격하게 관리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례적인 모습이다.

달러 매도를 촉발한 것은 미국과 대만이 대만달러 강세를 전제 조건으로 무역 협상을 진행할 수 있다는 '전망' 때문이다. 이른바 시장 관계자의 '코멘트'다.

이에 막대한 달러를 비축해놓은 수출업체의 달러 매도가 발생했고, 환 헤지도 없이 미국 자산을 매수한 대만 생명보험사는 부랴부랴 헤지(달러 매도)에 나섰다.

다급한 것도 이해는 간다. 대만 보험사 경우에는 해외에 약 7천억달러 규모의 미국 자산에 투자한 것으로 전해진다. 대부분 미국 국채로 평가된다. 이 가운데 30%는 헤지 없이 한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다면 약 2천억달러 수준인데, 이는 대만의 국내총생산(GDP)의 110%에 달한다. 단순하게 보면, 환율에 10%의 변동이 생겨도 200억달러가 생기거나 사라질 수 있다.

발등에 불이 떨어진 대만 세력은 자신들보다 시장의 규모가 큰 한국까지 찾아와 헤지를 하기도 했다. 이른바 점심시간(한국시간 기준)에 자주 출몰하는 '라이퍼'들이다.

대만 외환 당국도 당황했다. 양진룽 대만 중앙은행은 결국 지난 5일 "시장 평론가들에게 외환시장에 대해 무책임하게 추측하지 말 것을 엄숙하게 촉구한다"면서 "그러한 발언은 시장은 불안정하게 만들고 경제 전반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대만 총통도 환율협의가 없었다고 했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18일(현지시간) "당시 대만 외환시장을 보면 무엇인가 이상하긴 했다"면서 "대만은 정말 환율 안정을 위한 개입이 센 곳인데, 특정 레벨 수준에서도 개입이라고 할 만한 물량이 약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시장 참여자는 당연히 '아 미국을 의식한 것이구나'라고 생각할 수 있는 것"이라며 "'왜 이러지' 불안감에 달러 투매가 나올 수밖에 없다"고 당시의 상황을 평가했다.

이러한 분위기는 여전하다고 한다. 달러-대만달러 환율은 30.2대만달러대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지 않고 있다.

한국은 어떨까. 국민연금은 그간 환 오픈 전략으로 해외 자산을 매수한 대표적인 기관으로 여겨진다. 대만 보험사들처럼 환 헤지 비용까지 아껴가며 수익률을 극대화한 것이다.

지난 2022년 환율 변동성이 커지자 국민연금은 전략적 환 헤지 비율을 0%에서 10%로 상향 조정했지만, 기대만큼 물량은 나오지 않은 것으로 평가된다. 시장에서는 국민연금은 언제나 '달러 롱'이라는 말까지 나온다.

한국과 미국은 현재 환율을 협의 중이다. 일부에서는 '제2의 플라자 합의' 가능성도 거론한다. 이미 달러-원 환율은 1,400원대 초반으로 되돌아갔다. 주요 자산의 수익률은 불투명한 가운데 미국과 결부된 여러 정치적 요소는 원화 강세 압력을 가할 수 있다.

뉴욕 현지의 한 한인 금융인은 "만약 달러-원 환율이 지금보다 더 떨어지게 된다면 국민연금이 보유한 미국 자산의 평가손은 상당히 커지게 될 것"이라며 "그럼 그 파장은 국민연금이 모두 다 뒤집어써야 할 텐데, 정치적으로 감당할 수 있을까. 대만 사례를 보면 기시감이 든다"고 평가했다. 다른 관계자는 "국민연금의 그간 행보를 고려할 때 어느 때보다 (국민연금의) 수익률이 궁금해진다"고 짧게 말했다.

jwchoi@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최진우

최진우

돈 되는 경제 정보 더 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