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컴퓨텍스 첫 출격 삼성D, 비장의 카드는 'UT One'

2025.05.20 10:30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대만 컴퓨텍스 첫 출격 삼성D, 비장의 카드는 'UT One'

소비전력·무게·두께 30%↓



(서울=연합인포맥스) 유수진 기자 = 삼성디스플레이가 아시아 최대 정보통신(IT) 박람회 '컴퓨텍스'에서 차세대 저전력 기술 'UT(Ultra Thin) One'을 최초 공개한다.

소비전력과 무게·두께를 모두 기존 대비 30% 줄인 차세대 IT OLED이다. 업계에서는 인공지능(AI) 시대를 맞아 급증하는 전력 소비에 대응할 수 있는 '대세 기술'로 보고 있다.

삼성D가 컴퓨텍스 2025에서 차세대 IT 기술 'UT One'을 최초 공개했다.

[출처:삼성디스플레이]





20일 삼성디스플레이에 따르면, 회사는 이날부터 23일(현지 시각)까지 나흘간 대만 타이베이 난강 전시센터에서 열리는 '컴퓨텍스 2025'에 참가해 업계 최고 수준의 OLED 기술력을 선보인다.

노트북과 태블릿, 모니터 등 다양한 IT OLED 포트폴리오로 고객사의 눈을 사로잡을 예정이다. 삼성디스플레이스의 컴퓨텍스 출격은 이번이 처음이다.

야심 차게 들고나온 건 저전력 기술이 강점인 'UT One'이다.

'UT One'은 산화물(Oxide) 박막트랜지스터(TFT) 기술을 적용, IT OLED 패널 최초로 '1헤르츠(Hz) 가변주사율'을 가능하게 한 제품이다. 디스플레이 콘텐츠에 따라 주사율을 1Hz에서 120Hz까지 동적으로 전환할 수 있어 소비전력을 효과적으로 배분할 수 있다. 이 부분이 AI를 위한 여분의 전력을 확보, 사용 시간을 늘려 소비자의 실제 사용성 개선에 기여할 수 있다.

특히 'UT'라 불리는 초박형 구조의 OLED는 유리기판 2장을 사용하는 기존 제품과 달리 하부 유리기판에 상부는 유·무기물 박막을 적용해 30% 더 얇고, 30% 더 가볍다는 특징이 있다. UT 적용으로 줄어드는 무게는 노트북 배터리셀 1개(50g)와 비슷해, 배터리 용량을 키우거나 휴대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현재 충남 아산에 구축 중인 8.6세대 IT OLED 전용 설비에 산화물 TFT 공정을 구축, 내년 양산을 준비하고 있다. 향후 이 라인에서 'UT One' 제품을 생산할 예정이다.

이 밖에도 삼성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알고리즘을 활용한 다양한 저전력 기술을 고객에게 선보인다.

'ICT(Intelligent Color Technology)'는 픽셀의 채도를 높이고 휘도를 줄이는 방법으로, 콘텐츠에 따라 사용자가 체감하는 화면 밝기 수준은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을 줄이는 기술이다. 'ELP(Edge Luminance Profile)'는 픽셀을 개별로 제어할 수 있는 OLED의 특성을 활용해 눈에 잘 띄지 않는 외곽 부분의 휘도를 조절해 소비전력을 저감한다.

삼성디스플레이 부스에 전시된 레인보우로보틱스 양팔 로봇의 모습.

[출처:삼성디스플레이]





삼성전자[005930] 로봇 자회사인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와 협업해 볼거리를 마련하기도 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이동형 양팔 로봇을 활용해 OLED의 가볍고 얇은 특성을 보여준다. 로봇이 양손에 OLED와 LCD를 들고 흔들고, 커다란 원통형 용기 두 개에 각각 OLED와 LCD를 넣고 바람을 불어넣어 18g 초경량의 OLED를 공중으로 날리기도 한다.

이종혁 삼성디스플레이 대형사업부장 겸 IT 사업팀장(부사장)은 "현재 IT 시장은 LCD에서 OLED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으며 그 변화를 컴퓨텍스 현장에서 느낄 수 있다"며 "삼성디스플레이는 OLED, QD-OLED를 비롯해 리지드부터 플렉시블, 폴더블 OLED 등 다양한 IT 솔루션으로 고객의 기술적 요구에 선제적으로 대응, 시장의 변화를 이끌어갈 것"이라고 밝혔다.

아시아 최대 정보통신 박람회 컴퓨텍스는 당초 대만 컴퓨터 제조·조립 회사들이 부품을 전시하던 행사였으나, 최근 몇 년 새 글로벌 반도체·IT 기업들이 앞다퉈 AI 기술과 솔루션을 소개하기 시작하며 위상이 달라졌다.

올해의 경우 지난해에 이어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기조연설자로 나서 대만에 AI 슈퍼컴퓨터를 구축, 미국 중심의 AI 주권을 대만으로 가져오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sjyoo@yna.co.kr



<저작권자 (c) 연합인포맥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유수진

유수진

돈 되는 경제 정보 더 보려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