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투자

미국 AI 인플레이션 압력을 낮추고 혁신을 부추길 AI GPU 수출 제한 논의, 경제지표 발표 일정

Global Insights
2024.10.17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AI GPU를 무기로 여기고 있는 미국 정부의 수출 제한 논의.
반도체주에는 악재지만 하이퍼스케일러에게는 호재

AI GPU를 국방 기술 (무기)로 여기는 미국 정부.
바이든 정부가 엔비디아와 AMD를 비롯한 미국 반도체 기업들의 고성능 인공지능 (AI) GPU 수출을 제한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고 엊그제 블룸버그가 보도.
국가 안보를 위해 특정 국가에 대한 수출 허가에 상한선을 설정한다는 것인데, 중동을 겨냥한 정책이라고 함.
아직은 심의 초기 단계지만, UAE와 사우디아라비아처럼 미국과 AI 기술 협력을 하는 국가에는 차등 적용하려는 분위기.
이미 미국은 중동과 아프리카, 아시아의 40여개국에 엔비디아와 AMD의 고성능 AI GPU 수출을 제한하고 있음.
이들 국가를 통해 중국으로 제품이 흘러갈 수 있다는 우려 때문.
그런데 지금 진행되는 논의는 중국 이외의 나라들, 특히 국가 내부에 강력한 감시 장치를 갖추고 있는 정부에서 이런 기술이 활용됐을 때 생길 수 있는 문제가 화두로 떠올랐다고 함.
하지만 특정 정부가 시민들을 감시하는 용도로 이 기술을 사용했을 때 생길 수 있는 인권에 대한 걱정은 표면적인 이유일 뿐, 다른 나라 정부가 AI 기술을 활용해서 미국의 정보망과 방첩망을 뛰어 넘어 미국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더 큼.
현재 미국만 보유하고 있는 강력한 기술을 다른 나라가 사용하게 되면 미국의 안보와 경쟁력을 위협할 수 있다는 생각.
그런 점에서 미국 정부는 AI GPU를 미국 안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국방 기술, 즉, 무기로 여기면서 수출을 엄격하게 제한하려고 함.
문제는 엔비디아가 최근에 시장 확장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 분야가 소버린 AI (Sovereign AI)라는 점.
엔비디아는 소버린 AI를 '한 국가가 자체 인프라, 데이터, 인력, 비즈니스 네트워크를 사용하여 인공지능을 생산하는 역량'으로 정의.
젠슨 황 엔비디아 CEO는 '모든 나라가 자기 만의 AI를 가져야 한다'면서, 정부 주도의 AI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고 주장.
AI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엔비디아의 AI GPU를 구매해야 한다는 건데, 미국 정부의 시선에서 보면, 다른 나라들에게 무기를 팔기 위한 영업으로 간주될 수 있음
김일혁 김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