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업

Not Rated

자율주행: 클리셰를 벗어나 일상으로 주가전망

Part 2. 경쟁 (Competition vs. 競爭)
최신글
2025.04.23

읽는시간 4

URL을 복사했어요
0
■ 미국: 테슬라 FSD, 그 외 자율주행 플랫폼

미국 자율주행 시장은 현재 기술 혁신과 상용화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는 격전지이다.
특히, 각기 다른 기술적 접근 방식을 취하는 선두 주자들의 경쟁 구도가 눈에 띈다.
막대한 주행 데이터를 기반으로 End-to-End 비전 방식의 자율주행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는 테슬라는, 카메라 센서만으로 인간 운전자의 판단 방식을 모방하여 폭넓은 환경에서의 자율주행 능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반면, 웨이모는 라이다, 레이다, 카메라 등 다양한 센서 융합 방식을 채택하여 주변 환경에 대한 정밀하고 안전한 인식을 추구하며 로보택시 상용화에 집중하고 있다.
그 이외에도 아마존 ‘죽스’, 모빌아이 등 다양한 기업들이 각자의 기술적 강점을 바탕으로 미래 모빌리티 시장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 중국: 화웨이 ADS, 그 외 자율주행 플랫폼

중국 정부는 전기차 보조금과 규제 완화를 통해 20여 개 도시에서 로보택시 운행을 허용하며 자율주행 산업을 적극 육성하고 있다.
특히 화웨이의 “첸쿤 ADS3.0” (Lv2.5 수준)은 빠른 기술 발전과 시장 점유율 확대를 보여주고 있다.
아직 완전한 End to End 구현에는 이르지 못했지만, 샤오미 (화웨이와 유사한 전략), 샤오펑 (비전 온리 자율주행 기업), 비야디 (“신의 눈” 공개 후 자율주행기능 무료 공급), 바이두 (로보택시의 자율주행 시스템 ADS) 등 다양한 기업들이 유사한 전략을 통해 기술 격차를 좁혀가고 있다.
각 기업의 고유의 기술적 강점과 전략을 바탕으로 중국 자율주행 시장의 미래를 주도하기 위해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으며, 이들의 경쟁 양상은 글로벌 자율주행 기술 발전의 중요한 변곡점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김현겸 김현겸
박수현 박수현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