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주식이나 채권 등의 실물자산을 현물이라고 하고 바스켓(basket)은 장바구니를 뜻한다. 현물바스켓은 펀드 별로 여러 종류의 펀드나 채권등을 한 곳에 모아 놓은 것이다. ETF등 특정지수를 기준으로 삼는 펀드들의 경우 지수와 비슷한 수익률을 내도록 현물을 구성한다.
muddling through
"힘겹게 나아가기", "시간끌기", 등을 뜻하는 말로 유럽이 유럽의 재정문제로 야기된 금융위기에 늑장대응하는 행태와 세계경제가 유럽으로 인해 초래된 장기불황국면을 지적할 때 사용된다.
digital space convergence
디지털기기·유무선 네트워크·소프트웨어 등 첨단 IT와 디자인감성을 결합해 공간별 목적과 특성에 맞춘 유비쿼터스 서비스를 제공하는 공간구축 사업이다. 도서관과 복합쇼핑몰을 비롯한 다양한 건물에 적용할 수 있다.
smart working
정보통신기술(ICT)을 이용해 고정된 사무실에서 벗어나 언제 어디서나 편리하게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말한다. 유연한 근무환경으로 직원들의 창의적 사고를 돕고, 업무 과정에서 발생하는 비생산적 요소를 줄이는 장점이 있다. 스마트 워킹은 일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문화와 제도 전반을 변화시켜 기업의 가치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benzene, toluene, xylene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등을 말하는 것으로 화학물질 합성에 많이 사용된다. 벤젠은 휘발유 첨가제, 합성세제 원료 등으로, 톨루엔은 시너 등의 합성 원료로, 자일렌은 인쇄, 고무, 가죽 제작 과정의 용매로 쓰인다. 석유화학 제품 중 냄새가 난다고 해 `방향족""으로 불린다.
principal-agent problem
계약관계에서 권한을 위임하는 사람을 주인(principal)이라고 하며 권한을 위임받는 사람을 대리인(agent)이라고 한다. 이때 주인은 대리인에게 자신의 권한을 위임하면서 주인을 위해 노력해줄 것을 약속받고 그에 따른 보상을 해주기로 계약을 맺는다. 하지만,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대리인이 주인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위해 일하는 도덕적 위해(moral hazard)가 발생하면서 주인의 경제적 효율성이 달성되지 않거나 피해를 입을 수도 있는데 이러한 상황을 가리켜 대리인 문제라고 한다.
고위, 저위와 함께 출산율 사망률 등을 예측할 때 적용하는 인구 시나리오의 하나. 낮은 정도의 인구성장을 예상해 계산된 것이 저위가정이라면 높은 정도의 출산율과 기대수명을 바탕으로 구성된 시나리오가 고위가정이다. 통계청이 내놓는 인구 수치들은 대부분 그 중간인 중위가정을 기준으로 한다.
Tier
미국 환경청(EPA)에서 시행하고 있는 배출가스 규제 제도. 자동차·건설기계·농기계에서 나오는 일산화탄소(CO) 질소산화물(NOx) 등 오염물질 허용 기준을 정한 것이다. 1~4단계가 있으며 숫자가 높을수록 규제 정도가 강하다는 뜻이다.
tipping effect
경쟁 관계에 놓여 있는 두 재화 중 어느 한 재화의 시장 점유율이 갑자기 상승하여 시장을 독점하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switching cost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재화가 아닌 다른 재화를 사용하려고 할 때 들어가는 비용을 말한다. 전환비용은 금전적인 비용뿐만 아니라 개인의 희생이나 노력 등 무형의 비용도 포함한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