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선행종합지수

composite leading index

선행종합지수는 3-6개월 후의 경기흐름을 가늠하는 지표로 지수가 전월보다 올라가면 경기상승, 내려가면 경기하강을 의미한다. `경기선행지수'라고도 한다. 선행지수가 5, 6개월 하락하면 경기가 꺾일 가능성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경기의 방향을 가리키므로 절대수치보다 전년 동월 대비 증감률이 큰 의미를 지닌다. 선행종합지수가 100 이상이면 경기 팽창, 그 이하면 하강을 뜻하며 100 이하에서 높아지면 경기 침체에서 회복하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종합지수는 생산, 소비, 투자, 고용, 금융 부문의 여러지표를 종합하여 산출하며경제환경 변화를 적시에 반영하기 위해 지수개편을 실시하기도 한다. 가장 최근에는 2012년 이후 4년만인 2016년 6월30일 관련지수를 개편했다.

개편된 선행종합지수는 아래의 8가지 구성지표의 움직임을 종합해 작성한다.
1)재고순환지표
2)소비자기대지수
3)기계류내수출하지수(선박제외)
4)건설수주액
5)수출입물가비율
6)구인구직비율
7)코스피지수
8)장단기금리차

이번 개편에는 이전 구성지수였던 국제원자재가격지수가 제외됐다. 국제 유가를 포함해 원자재 가격은 경기에 후행하는 지표인데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데 활용하는 문제가 있었다는 지적이 제기 됐기 때문이다.
또한 선행지수의 또 다른 구성지표인 장단기금리차(국고채-콜금리)에서 장기금리의 기초 자료인 국고채 기준은 3년물에서 5년물로 바꿨다. 국고채 3년물이 콜금리와의 금리 차를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에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경기순환

business cycle

경기가 확장(expansion)→후퇴(recession)→수축(contraction)→회복(recovery) 과정을 반복하면서 끊임없이 변동하는 일련의 순환과정을 말한다. 경기 저점에서 고점(정점)까지의 구간(회복기와 확장기)은 경기 상승국면, 고점에서 저점까지의 구간(후퇴기와 수축기)은 경기 하강국면이다.

경기가 침체에서 벗어나는 양상은 △저점에 도달한 이후 급격한 상승세를 타는 ‘V자형’△저점에 달한 뒤에도 곧바로 회복 기미를 보이지 않고 한동안 침체를 유지하다 서서히 상승세를 타는 ‘U자형’ △U자형보다 더 완만하게 회복이 진행되는 ‘나이키 커브형’ △일시적으로 좋아지는 모습을 보이다가 다시 침체에 빠지는 ‘W자형’ 등 다양하다.

더블 딥은 이가운데 W자형 회복을 뜻하는 용어로, 회복 과정을 밟고 있던 경기가 확장 단계에 진입하지 못하고 다시 후퇴하는 이중침체 현상을 가르킨다. 더블 딥이 회복되는 모습을 보이던 경기가 다시 본격적인 하강국면에 진입하는 것이라면, 소프트 패치(soft patch)는 본격적인 후퇴가 아니라 일시적인 어려움을 겪는 상황을 뜻한다. 경기순환은 한 국가경제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도 나타나는 현상이다. 경기순환은 10년 주기의 주순환, 40개월 단위의 소순환, 50∼60년 단위의 대순환으로 크게 나뉜다. 보통 경기순환이라 하면 주순환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