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actual value method
20% 이상 출자한 자회사의 순이익을 보유 지분만큼 모회사 재무제표에 반영하는 제도. 평가이익은 영업외수익, 평가손실은 영업외비용으로 처리한다. 1999회계연도 결산 때부터 적용되고 있다. 기업이 다른 회사의 주식을 살 때 실제 가치보다 싸게 또는 비싸게 살 수 있는데 그 손익을 20년 내의 "합리적인" 기간으로 나눠 결산에 반영한다. 이전에는 주식을 사더라도 대차대조표에 취득 원가만 표기하도록 돼 있어 기업들은 다른 회사 주식에 투자해 얻은 손익을 결산에 반영할 수 없었다. 따라서 투자 손익을 결산에 반영할 수 있게 허용하되 한꺼번에 하지 말고 나눠서 반영해야 한다.
지상파 전파는 파동의 길이인 파장에 따라 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극초단파, 마이크로파, 밀리미터파, 서브밀리파 등으로 나누는데 방송에서는 용도에 따라 지상파와 위성파로도 나눈다. 지상파는 공·민영 방송국에서 쓰는 전파를, 위성파는 위성방송에서 사용하는 전파를 지칭한다. 지상파로는 중파에서부터 극초단파까지, 위성파로는 주로 마이크로파를 사용한다.
staying power
가치가 떨어지고 있는 투자를 투자가가 얼마동안 유지할 수 있는가를 나타내는 능력. 예를 들면 지속력을 가진 상품거래자는 가격이 하락할 때 구입했던 상품선물에 대해서 적자를 보지 않을 것이다. 실물자산에서 지속력을 가지고 있는 투자가는 저당권을 유지하고 소유권에 대한 대금지불을 계속할 수 있으며 점유기간이 늘어나거나 줄어들 때 또는 그 재산이 매각하기 어려울 때는 매각하도록 강요되지 않는다.
모든 상품의 가격변동을 대표하는 지표다. 일정 시점의 연평균 물가를 100으로 잡고 가격변화 추이를 수치로 나타내는 것이다. 따라서 조사 당시의 전반적인 물가수준을 측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한국은행에서 생산자(도매)물가, 통계청에서 소비자물가를 매월 작성해 발표하고 있다.현재 우리나라에서 작성되는 물가지수로는 국내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간에 거래되는 상품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생산자물가지수, 소비자가 소비생활을 위하여 구입하는 재화의 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측정하기 위한 소비자물가지수, 수출입상품의 가격동향을 파악하고 그 가격변동이 국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사전에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수출입물가지수, 농가가 생산한 농산물의 판매가격과 이들의 소비생활과 영농에 필요한 재화 및 서비스의 구입가격을 조사하여 작성하는 농촌물가 및 임료금지수 등이 있다.물가지수는 화폐의 구매력을 측정할 수 있는 수단이 되고 경기판단지표로서의 역할을 한다. 또한 물가지수는 디플레이터(deflator)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상품의 전반적인 수급동향을 판단하기 위한 자료를 제공해준다. 물가지수는 5년에 한 번씩 기준연도를 바꾼다. 1990년의 경우 당해 품목의 거래액이 국내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거래액의 ‘1만분의 1’ 이상인 8백 96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했다.최초의 물가지수는 1675년에 영국의 본(Rice Vaughan)이 ‘화폐론’에서 1352년과 1650년의 물가를 비교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후 많은 변천과 발전을 거쳐 오늘날에 있어서는 각종 경제지표 가운데 가장 대표적인 통계의 하나가 되고 있다.우리나라에서도 물가지수는 가장 오래된 경제통계의 하나로서 1910년부터 도매물가지수를 작성해 왔다. 물가지수는 목적에 따라 여러 가지로 작성될 수 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한국은행에서 작성하는 생산자물가지수(도매물가지수) 및 수출입물가지수, 경제기획원에서 작성하는 소비자물가지수, 농업협동조합중앙회가 작성하는 농촌물가 등이 있다.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시장의 제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 상호간에 거래되는 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상품의 평균적인 가격변동을 측정하기 위해 작성된다. 옛 이름인 도매물가지수에서의 ‘도매’라는 용어는 대량거래가 이루어지는 생산자 단계의 판매를 의미하는 것이지 도매상 또는 대리점에서의 판매를 뜻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지수작성에 사용되는 가격은 제1차 거래단계 가격, 즉 국내생산품의 경우는 부가가치세를 제외한 생산자판매가격(공장도가격)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소비자물가지수는 일반소비자가 소비생활을 영위하기 위해 구입하는 재화의 가격과 서비스 요금의 변동을 종합적으로 측정하기 위해 작성되는 물가지수로 최종소비자 구입단계에서의 물가변동을 파악하여 일반 도시가구의 평균적인 생계비 내지 소비자 구매력을 측정하기 위한 특수목적지수다. 소비자물가는 사용빈도가 많은 식료품 등에 높은 가중치를 두어 작성되고 생산자물가는 식료품 이외의 상품에 더 큰 비중을 둔다.한편 이같이 지수상으로 계산된 물가를 지수물가라고 하는 반면 품목별 가중치 개념없이 시장에서 자주 구입하는 식료품 등의 가격변화에 대해 개인이 주관적으로 느끼는 물가를 피부물가라고 한다.
수취인이 반드시 명시되고 수취인 앞으로 배달까지 가능한 신종 자기앞수표. 자기앞수표와 어음의 기능이 결합된 지시식 자기앞수표는 다른 사람에게 양도할 때 수표 뒷면에 양도인의 기명날인을 의무화하고 최종 현금 교환 단계에서 실명확인을 거치도록 되어 있는 데다 고객이 수취인에게 돈을 지급하는 이유 등 거래내용을 기록함으로써 자금결제의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소지식 자기앞수표와 달리 수표의 유통과정 추적이 가능해 자금 출처를 완벽히 추적할 수 있어 금융실명제의 취지에 부합하는 상품으로 평가된다. 우리나라에서는 씨티은행이 1996년 3월 처음 도입하였다.
지식이란 여기서 기술과 정보를 포함한 지적능력과 아이디어를 총칭한다. 지식기반산업이란 바로 이같은 지식을 이용해 상품과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크게 향상시키거나 고부가가치의 지식서비스를 제공하는 산업을 말한다. 따라서 첨단기술산업보다 훨씬 광의의 개념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은 국내총생산(GDP) 의 약 35%를 지식기반산업에 의해 얻는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intellectual property right
인간의 창작이나 발명 등 지적활동에서 발생하는 무형의 소유권을 의미한다. 문학, 예술 및 과학작품, 공업의장, 등록상표·상호 등에 대한 보호권리와 공업, 과학, 예술 분야에서의 지적활동에 따른 기타 모든 권리를 포함한다. 크게 산업발전을 목적으로 하는 공업소유권과 문화창달을 목적으로 하는 저작권으로 나뉜다. 이들 두 권리는 인간의 지적 창작물을 보호하는 무체재산권이라는 점과 보호기간이 한정돼 있다는 점에서 같다.그러나 공업소유권이 특허청의 심사를 거쳐 등록해야만 보호되는 반면저작권은 출판과 동시에 보호된다는 점에서 다르다. 최근엔 급속한 기술혁신에 따라 새로운 기술들이 속출, 공업소유권과 저작권 중 어느 부류에도 속하지 않거나 두 부류에 공통으로 포함될 수 있는 분야가 나타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컴퓨터 소프트웨어다. 그리고 지적소유권에 관한 문제를 담당하는 국제기구로 WIPI가 있다.
채무자가 계약기간 내에 계약상의 의무를 이행하지 못한 때에 채권자에게 지불하는 금액을 말한다. 지체상금 또는 지체보상금으로 불리며 아파트 입주 지체보상금, 공사지체보상금이 대표적인 예다. 보상금은 계약체결 당시 당사자간의 약정에 따라 정해진 일정률과 지체 날짜수를 곱해 산출되는 게 일반적이다. 아파트 분양의 경우 지체보상금은 아파트 분양자가 워낙 많은 탓에 분양공고문에 보상내용을 정해 공표하고 있다. 보상금은 계약불이행에 대한 보상성격을 띠고 있는 만큼 현금으로 지급되지만 당사자간 합의에 따라 유가증권으로 지급될 수 있다. 그러나 지체의 이유가 채무자의 귀책사유가 아닌 천재지변, 행정명령, 기타 불가항력적 원인에 의한 경우에는 채무자는 채권자에게 지체보상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으며 채권자는 아무런 이의를 제기할 수 없다. 채무자는 단지 이같은 사유를 채권자에게 통보하기만 하면 된다.
underground economy
정부의 세금을 피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경제. 이 중에는 마약매매, 매춘, 도박 등 위법행위에 의해 이뤄지는 것과 정상적 경제활동이면서도 세무서 등 정부기관에서 포착하지 못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정상적 활동 중 지하경제에 속하는 것은 기업의 음성적 비자금이 대표적이다. 이는 세금의 회피뿐 아니라 자금출처나 사용처 등을 숨기기 위해 금융기관을 이용하더라도 가명이나 차명계좌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따라서 지하경제의 규모를 정확히 추산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특히 지하경제는 세무서의 추적을 피하기 위해 현금으로 직접 거래되는 부분이 많아 더욱 그렇다. 지하경제를 캐시 이코노미(cash economy), 위법성을 들어 블랙 이코노미(black economy)라고 부르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job satisfaction
특정 직무를 수행할 때 느끼는 자부심이나 성취감. 직무만족은 중요하고 가치 있는 것으로 인식되는 일을 성취했을 때 느끼는 감정이며 즐거운 느낌이다. 임금(직무)지위의 안정성, 업무의 종류 및 사회에 대한 자부심 등이 직무만족의 요소로 작용한다.
KB에만 있는 금융콘텐츠
더 많은 콘텐츠
서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