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용어사전

어려운 금융 용어의 뜻을 확인해보세요.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탄소발자국

carbon footprint

개인이나 기업 등이 상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총량을 의미한다.

기후 변화의 주범인 탄소를 줄이기 위한 취지로 2006년 영국 의회 과학기술처(POST)가 제안한 개념으로, 제품 하나를 생산하기 위한 원료 채취·유통·생산·판매·사용·폐기까지 전 과정에서 이산화탄소가 발생하는 것을 빗댄 용어다. 제품의 생애 주기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는 무게 단위인 kg이나 광합성을 통해 상쇄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 양을 나무 수로 환산해 표기한다.

탄소 발자국은 제품 생산이나 시스템의 모든 과정이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전과정평가(LCA)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흔히 LCA와 탄소 발자국을 혼용하지만 정확히 말하면 LCA가 좀 더 넓은 개념이다. LCA는 온실가스뿐만 아니라 에너지·대기·토양 등 환경에 대한 기업이나 개인의 영향을 평가한다. 이를 통해 산출된 결과 중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수치화한 것이 탄소 발자국이다.

인증 취득부터 자체 시스템 구축까지

기업들은 탄소 발자국 인증을 탄소 감축을 입증하는 일종의 ‘라벨’로 활용하고 있다. 탄소 발자국 인증이 기업이 생산한 제품의 환경 성적을 나타내는 인증 수단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특히 이전에는 자발적 영역이던 인증이 글로벌 규제에 포함되면서 기업의 대응에 가속도가 붙고 있다.

특히 유럽연합(EU) 차원에서 시작된 규제 바람이 거세다. EU의 핵심 원자재법(CRMA) 초안에 핵심 원자재 판매 기업을 대상으로 탄소 발자국 정보를 요구하는 방안이 포함됐고 이후 산업 및 전기차용 배터리 생산 공정을 공시하는 세부안도 논의됐다. 최종적으로는 공급망 데이터를 담은 EU 배터리 여권 시스템을 2024년 의무화하기로 해 배터리 기업의 탄소 발자국 공시가 불가피하게 됐다.
관련 기업들은 국내외 인증 기관에서 제품 탄소 발자국 인증을 받거나 자체적으로 LCA를 진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확보하는 등 대응을 서두르고 있다.

대표적 인증으로는 해외는 영국 비영리 기구 ‘카본 트러스트’의 탄소 발자국 인증, 한국에는 환경성적표지 인증이 있다. 카본 트러스트는 2001년부터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해 탄소 저감, 패키지 탄소 저감, 탄소 중립 등 다양한 인증을 제공한다.

한국경제신문을 뜻하는 한경이라는 글자가 씌인 로고와 한국경제라는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한국경제

기준금리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로 각종 금리의 기준이 된다.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면 국내 실물경제와 외환시장 등이 영향을 받는다. 은행에선 기준금리 인상으로 자금 조달비용이 상승해 대출금리를 올린다. 금리가 상승하면 기업이나 개인은 자금 조달비용이 높아지기 때문에 자금 수요를 줄인다.

대출 수요가 줄어들기 때문에 부동산이나 기타 분야 투자가 감소하면서 부동산 및 주식 가격 하락에 영향을 주고 민간 소비도 감소한다. 해외 기준금리 인상은 해외 자본의 국내 유입을 확대해 환율이 하락(원화가치 상승)한다. 이는 수출 감소 및 수입 증가로 이어져 순수출이 줄어든다.
해외 자본이 외환시장으로 유입돼 국내 통화 가치가 상승한다.

우리나라는 1999년부터 콜금리가 기준금리역할을 해왔으나 2008년 3월부터 7일물 환매조건부채권(RP)금리를 기준으로 하는 ‘한은 기준금리제’를 도입해 시행하고있다. 한국은행이 일주일에 한번(매주 목요일)씩만 시장에서 7일만기 RP를 팔 때 적용한다. RP란 일정기간 뒤 미리 정해진 가격으로 되사는 조건으로 판매하는 채권으로 금융회사들은 한국은행이 끼어들지 않는 일주일 간 금리변동 위험을 안은 채 RP거래를 한다. 한편 미국은 연방기금금리(federal funds rate)를, 일본은 콜금리(1일물 overnight call rate)를 각각 기준금리로 활용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