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화. SVB 파산의 중요한 원인 중 하나, 느슨한 규제 체계

디지털 뱅크런 시대의 인터넷전문은행 예금자보호 강화를 위한 싱가포르 사례와 시사점
23.04.13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1년 간 지속된 미국의 고금리 정책도 SVB 파산 원인으로 작용하였으나, SVB와 같은 중소 은행에 대한 미 금융당국의 안일한 규제도 중요한 원인을 제공

○ 코로나19로 인한 미국 테크 스타트업의 활황으로 SVB 보유 예금이 급증하였으며, SVB는 예금의 상당 부분을 국채에 투자하여 위기의 단초를 제공

 

  • 코로나19 기간 중 테크 스타트업의 가치 급등 및 자금 유입으로 SVB에 예치된 예금 규모도 함께 확대되었음
    - SVB 보유 예금 규모가 2018년 490억 달러에서 2020년 말에는 1,020억 달러, 2021년에는 1,892억 달러로 급격하게 증가 
  • SVB는 예금의 상당 부분을 저금리에 지속적인 수익을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 장기국채와 모기지 채권에 투자(910억 달러 가치)
    - 약 1년간 이어진 금리 상승으로 SVB가 투자한 채권의 가치는 투자 시점 대비 약 150억 달러가 하락
    - SVB뿐 아니라 퍼스트 리퍼블릭 뱅크(First Republic Bank), 웨스턴 얼라이언스 뱅크 (Western Alliance Bank) 등 SVB와 유사하게 스타트업을 주 고객으로 하는 은행들도 비슷한 어려움을 경험 
  • 스타트업들도 고금리로 자금줄이 막힘에 따라 예금 인출을 시도하였으며 SVB는 예금 지급을 위해 기 투자한 국채 매각을 시도하여 대규모 손실로 이어짐

○ 미 금융당국은 지방은행 등 중소규모 은행에는 초대형 은행과는 달리 보다 느슨한 규제를 적용 하여 SVB 파산의 원인을 제공

 

  • SVB는 자산 규모가 500억 달러 미만이었던 2015년부터 규제 완화를 위해 지속적인 로비를 펼쳐왔으며, 자산 규모가 2,500억 달러 미만인 은행에 대해서는 완화된 스트레스 테스트 규정을 요구 
  • 2018년 미국에서 『경제성장·규제완화·소비자보호법(Economic Growth, Regulatory Relief, and Consumer Protection Act)』이 통과되어 금융당국은 자산 규모 2,500억 달러 미만은 행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의무 규정을 완화하였음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제정된 도드프랭크법은 자산 규모 500억 달러 이상 은행에 대해 강화된 자본 및 유동성 규제를 적용하고 있으나, 경제성장·규제완화·소비자보호법은 강화된 규제의 적용 대상을 2,500억 달러 이상 은행으로 상향 조정
    - 연준은 과거 자산 규모 100억 달러 미만 은행에 대해 회사 내부적인 스트레스 테스트 수행 및 공표 의무를 부여하여 왔으나, 동 법의 제정 이후 해당 규제를 2,500억 달러 이상 은행에만 적용하는 것으로 변경 
    - 의무적으로 수행하여야 하는 스트레스 테스트의 종류 및 실시 횟수도 축소하여 규제를 완화하였음 

미국 경제성장·규제완화·소비자보호법에 의한 규제 완화 주요 내용

구분 내용
모기지 시장 접근성 확대 -  자산 100억 달러 미만 예금취급기관에 대해 공정대출법상 적격모기지 인정 요건을 완화하고 차입자의 상환능력 평가의무를 면제
- 소규모 모기지 취급기관에 대한 공시 및 에스크로 의무 면제 
소규모 지역은행 규제 부담 경감  - 자산 100억 달러 미만, 트레이딩자산부채가 총자산의 5% 미만인 은행에 볼 커룰 적용 면제
- 자산 100억 달러 미만 지역은행의 경우 레버리지 비율이 8~10% 이상(감독 당국이 확정 예정)인 경우에는 위험기준 자본 및 레버리지비율 규제 면제
- 자산 50억달러 미만 은행에 대해서는 간소화된 업무보고서 제출, 18개월(통상 12개월)의 검사 주기가 적용되는 은행의 자산기준을 10억 달러 미만에서 30 억 달러 미만으로 상향
소비자보호 - 개인신용정보회사의 무료 신용조회 차단 서비스 제공 의무화
- 감사원의 개인신용평가기관에 대한 분석 및 관련 내용 의회 보고
은행지주회사 차등 규제  -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회사(SIFI: Systemically Important Financial Institutions) 간주 은행지주회사 총자산 기준을 기존 500억 달러에서 2,500억 달러 이상 으로 상향 조정
- 총자산이 1,000~2,500억 달러 미만인 은행지주회사에 대해서는 주기적인 스트레스 테스트는 유지하되 연준이 자본구조, 위험, 복잡성 등을 고려하여 18개월 내에 적절한 수준의 새로운 규제 프레임을 개발

 

자료: 한국은행 워싱턴주재원, KB경영연구소 수정

총 6화

디지털 뱅크런 시대의 인터넷전문은행 예금자보호 강화를 위한 싱가포르 사례와 시사점

가장 최신 시리즈예요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