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매운맛 FOMC에 얼얼한 미 달러화

2024.12.19 달러/원 환율 1,445~1,455원 전망
2024.12.19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매파적 연준과 미 달러화 초강세에 1,450원대 진입 예상
    • 글로벌 동향, 연준의 2025년 금리인하 속도 조절에 미 달러화 초강세
    • 마켓 이슈, 매파적이었던 FOMC 결과, 견고한 성장과 인플레 리스크 반영

달러/원 환율, 매파적 연준과 미 달러화 초강세에 1,450원대 진입 예상

전일 달러/원 환율은 FOMC 앞두고 경계 심리에 소폭 상승 출발. 하지만 기재부 및 한은 등 외환당국의 환율 안정 발언에 하락으로 전환. 이후로도 달러 인덱스 조정에 따른 역외 달러 매도와 외국인의 국내주식 순매수에 따른 수급 부담 완화에 하락 흐름 유지, 전일 종가 대비 3.4원 하락학 1,435원으로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매파적 FOMC 결과를 소화하며 1,439.1원으로 마감. NDF 역외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18.35원 상승한 1,451.95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강세 및 역외 거래를 감안해 1,450원 부근 갭 상승 출발 예상. 연준의 12월 FOMC 결과가 예상보다 상당히 매파적으로 해석. 달러가 초강세를 보임에 따라 달러/원은 비상계엄 사태 이후 재차 연고점 갱신 예상

물론 환율 변동성 확대에 따른 외환당국 개입이 예상돼 달러/원 추가 급등은 제약. 하지만 금일 장은 FOMC 소화 및 BOJ 대기 등 경계 심리에 1,440원~50원대 등락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연준의 2025년 금리인하 속도 조절에 미 달러화 초강세

전일 미 달러화는 예상보다 매파적이었던 연준 FOMC 회의 결과에 강세 시현.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 지수는 1.08% 급등하며 약 2년 만에 최고치인 108.14pt 기록. 금일 새벽 연준은 FOMC 회의에서 예상대로 25bp 금리 인하

하지만 경제전망 (SEP)에서 2025년 말 금리 예상치는 중간값 기준 3.9%로 지난 9월 SEP 3.4%에서 50bp나 상향. 연준의 금리인하 속도 조절 시사에 미 국채금리 역시 장단기 모두 급등. 2년물은 11.2bp 상승한 4.361%, 10년물은 11.8bp 상승한 4.518% 기록하며 달러 강세를 유발. 글로벌 강 달러 영향에 비미국 주요국 통화는 일제히 약세

유로/달러는 1.03달러대까지 속락하며 2022년 11월 이후 최저치, 엔화도 약세를 보이며 달러당 엔화 환율은 154엔대 안착. 중국의 역외 위안화 환율도 상승하며 달러당 7.3위안대 진입. 한편 뉴욕증시는 연준발 쇼크에 3대 지수 모두 급락 마감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매파적이었던 FOMC 결과, 견고한 성장과 인플레 리스크 반영

금일 새벽 미 연준은 FOMC 정례회의에서 예상대로 25bp 금리인하에 나섰고, 9월과 11월에 이어 3회 연속 인하를 단행. 하지만 같은 날 발표된 경제전망 (SEP)에 따르면, 연준 위원들의 2025년 말 금리 예상치 중간값은 기존 3.4%에서 3.9%로 대폭 상향

금리인하 횟수는 지난 9월 SEP의 4회에서 12월 SEP에서는 2회로 축소 (1회 25bp 기준). 미국의 견고한 경제성장세, 그리고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방 리스크가 이번 금리인하 속도 조절 시사의 배경. SEP에서 2024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기존 2.0%에서 2.5%로 대폭 상향

2025년 전망치 역시 2.0%에서 2.1%로 상향. 근원 PCE물가상승률 전망치도 2025년 기존 2.1%에서 2.5%로 상향되며 연준 목표치인 2%에서 더욱 멀어질 것을 예상. 파월 의장에 따르면, 일부 연준 위원들은 이번 FOMC 회의에서 트럼프 정책이 경제에 미칠 영향도 일부 반영한 것으로 파악

연준 경제전망 (SEP), 25년 말 금리 예상치 상향

'미국' '실질 경제성장률', '실업률', 'PCE물가상승률', 근원 PCE물가상승률의 전망치 중간값을 24년에서 27년 및 장기까지의 내용을 표로 정리했다.

자료: Federal Reserve Board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