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달러야 미안, 시장이 너랑 놀지 말래

2025.4.14 달러/원 환율 1,415~1,430원 전망
최신글
2025.04.14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글로벌 약 달러 및 위험선호에 갭 하락, 1,410원대 시도
    • 글로벌 동향, 달러 자산 신뢰도 약화에 미 달러화 지수 100pt 하회
    • 마켓 이슈, 여전히 '원화 저평가', 요인 해소 시 달러/원 추가 급락 가능성

달러/원 환율, 글로벌 약 달러 및 위험선호에 갭 하락, 1,410원대 시도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소비자물가 둔화로 인한 미 달러화 약세에 개장부터 하락 출발. 이후로도 달러화 지수 하락 및 위안화 강세에 연동해 장중 1,446원까지 하락. 저점 매수 및 국내 주식에서의 외국인 순매도 등 수급 부담에 추가 하락은 제한되며, 전일 종가 대비 6.5원 하락한 1,449.9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미 달러화 지수 하락과 중국 위안화 강세에 동조해 추가 하락하며 1,421.0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전일 종가 대비 27.90원 급락한 1,419.5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주말간 달러 약세 및 역외 거래를 감안해 약 30원 갭 하락한 1,420원 부근 출발 예상. 미 달러화 지수가 100pt를 하회하며 글로벌 약 달러가 이어지는 가운데, 뉴욕증시 회복 등 위험선호 분위기에 원화도 힘을 받는 형국

현재 원화 저평가라는 점에서 중국 위안화 강세 연동 시 추가 하락이 가능하며 1,410원대 안착도 노려봄직. 다만 수입 결제와 외국인 배당 및 해외투자 환전 수요가 하단 지지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달러 자산 신뢰도 약화에 미 달러화 지수 100pt 하회

전일 미 달러화는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달러 자산 매력도 감소에 약세.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1.14% 급락해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pt 하회. 반면 달러 대비 유로화 및 엔화는 각각 1.41% 및 0.63% 절상. 미국과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중국의 역외 위안화 가치는 달러 대비 0.42% 절상

반면 미 국채금리는 달러의 안전자산 신뢰가 약화하며 장단기물 모두 상승. 특히 10년물 금리는 6.2bp 상승하며 4.5%선 근접. 한편 금요일 (11일) 발표된 미국 경제지표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를 더욱 자극

관세에도 불구하고 3월 생산자물가 (PPI)는 오히려 전월대비 0.4% 하락, 예상치 (0.2% 상승) 및 전월치 (0.1% 상승)를 큰 폭 하회. 4월 미국 소비심리는 더욱 악화, 미시간대의 4월 소비심리지수는 50.8pt를 기록하며 예상치 (53.8pt) 및 전월치 (57.0pt) 하회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여전히 '원화 저평가', 요인 해소 시 달러/원 추가 급락 가능성

지난주 미 달러화 지수가 100pt를 하회하는 등 급락하자 달러/원 환율도 하락 폭 확대, 지난해 12월 이후 처음으로 1,420원대 진입. 하지만 달러화 지수 및 달러/원의 최근 통계적 관계를 고려하면, 달러/원의 추가 급락 가능성도 있다는 판단

달러화 지수 100pt 부근에서의 달러/원 적정 수준은 1,350원 이하, 즉 현재 원화는 글로벌 달러 가치 대비 최소 5% 이상 저평가. 이같은 원화 저평가 원인은 관세로 인한 수출 둔화를 비롯해 내수 및 투자 부진 등 '한국 경제 펀더멘털에 대한 우려', 대외적으로는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위험자산회피 심리'와 '위안화 평가절하' 가능성 등

위안화의 평가절하 가능성은 낮아졌지만, 여전히 산적한 원화 저평가 요인 (한국 경제 펀더멘털 우려, 위험자산회피 심리)에 환율도 한동안 1,400원대에 머물 것으로 예상. 하지만 이를 뒤집어 해석한다면, 원화 저평가 해소 시 달러/원 급락의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

달러화 지수 감안하면 달러/원은 1,350원 이하

24년 7월 부터 25년 4월 까지 '미 달러화 지수' 및 '달러/원 환율'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이민혁

KB국민은행 이코노미스트

한국 경제에 대한 심도 깊은 분석결과와 최근 경제 이슈 정보를 빠르게 전달합니다.

이민혁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