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단기 금리 하락과 위험선호에 달러 약세

오늘의 달러/원 환율 1,283~1,293원 전망
2023.11.29

읽는시간 4

0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미국채 금리 조정과 위험선호 지속으로 1,280원대로 하락
    • 글로벌 동향, 연준 인사의 긴축 종료 시사에 금리 하락, 달러 더욱 약세
    • 마켓 이슈, 미국 장단기 금리 하락은 시장의 기대를 반영, 달러에 약세

달러/원 환율, 미국채 금리 조정과 위험선호 지속으로 1,280원대로 하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미국 신규 주택판매 부진과 장기금리 하락, 달러화 약세 등으로 개장부터 하락 출발한 가운데 국내 및 아시아 증시의 상승과 역외에서 달러 약세가 지속되며 낙폭을 확대, 종가는 10.1원 하락한 1,293.7원에 마감함

NDF 역외환율은 월러 연준 이사의 긴축 종료 시사 발언과 미 국채 장단기 금리의 하락, 달러화 약세가 더욱 심화되어 전일 종가대비 5.1원 하락한 1,286.5원에 호가됨

금일 달러/원 환율은 미 국채 금리 하락과 뉴욕증시 상승, 달러화 약세에 따른 역외 환율 하락을 반영하여 1,280원대 중후반에서 등락할 것으로 예상됨

미국 연준 인사들의 다소 완화적 발언과 시장의 금리동결 전망, 미국 국채 금리 하락에 따른 달러 조정 등이 시장에 위험선호, 달러에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함. 하지만 미국 주택가격 상승과 소비심리 개선 등 아직 경제가 양호하여 달러화 약세도 완만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연준 인사의 긴축 종료 시사에 금리 하락, 달러 더욱 약세

전일 미 달러화는 유로화 및 일본 엔화와 영국 파운드화 등에 대해 모두 약세를 보임. 주요 6개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39% 하락한 102.79pt를 기록함. 미국 국채 금리가 하락하며 채권이 강세를 보였고, 뉴욕증시는 3대 지수 모두 상승함

전일 미국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현재의 금리 수준이 물가 안정을 위해 적정한 수준이라고 발언하여 긴축 종료 가능성을 시사함. 반면 미셸 보먼 이사는 추가 금리인상 가능성을 남겨둠. 전일 발표된 미국 9월 FHFA 주택가격은 전월보다 0.6% 상승했고 11월 컨퍼런스보드 소비기대지수는 102pt로 예상치를 상회함

그럼에도 최근 유가 조정과 물가 둔화 전망, 실물경제 부진 등으로 연준의 긴축 종료는 더욱 가까워짐.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6bp 하락, 2년 단기 금리는 14.3bp 급락함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미국 장단기 금리 하락은 시장의 기대를 반영, 달러에 약세

미국 대표 금리인 장기 10년물 금리가 4.4%를 하회, 4.33%까지 낮아짐. 11월 초에만 해도 4.8%대를 기록했고, 지난 10월에는 5%를 상회하기도 한 바 있음. 4.3%대 금리는 지난 9월 20일 FOMC 회의 이전의 금리 수준이라는 점에서 연준의 매파적 성향을 되돌리는 수준으로 볼 수 있음

단기 2년물 국채금리는 4.7%대로 낮아졌는데, 이는 2년 이내에 미국 연준 금리가 4.7%대로 인하될 것이라는 시장의 기대를 반영함. 미국 국채 금리의 하락이 채권의 강세를 반영하며 향후 경기와 물가의 둔화에 대한 시장 기대를 가격화하고 있음

다만 일부에서는 금리가 과도하게 하락하고 있는 것으로 평가함. 1개월 동안 고용과 물가 둔화에도 소비는 양호했고, 전일 발표된 소비심리도 개선됨. 기대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한 점과 주택가격 상승 등도 인플레이션 요인으로 남음. 12월 초 발표될 미국 고용, 중순 예정된 FOMC 회의가 더욱 중요해짐

미국 장기금리에 이어 단기금리도 하락

미국 대표 금리인 장기 10년물 금리가 4.4%를 하회, 4.33%까지 낮아짐. 11월 초에만해도 4.8%대를 기록했고, 지난 10월에는 5%를 상회하기도 한 바 있음.

자료: 인포맥스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