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고된 트럼프의 ‘관세 전쟁’, 장기금리와 달러의 상방을 제약

2025년 2월 18일 경제 이슈 분석
2025.02.18

읽는시간 4

0

미국 트럼프 대통령 취임과 예고된 ‘관세 전쟁’의 시작

미국 트럼프 대통령은 2월 1일, 주요 무역 상대국인 멕시코와 캐나다, 중국에 대해 25%, 추가 10%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이튿날 (2/3일) 멕시코와 캐나다에 대해 30일의 유예 기간을 두었다. 2월 10일에는 수입산 철강과 알루미늄에 대해 25%의 관세부과에 대한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시행 일자는 3월 12일로 1개월 이후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추가로 무역적자가 큰 상대국에 대해 보편관세, 또는 ‘자동차, 반도체, 의약품’ 등 일부 품목에 대해 관세 부과도 고려하고 있다. 오는 4월 1일에는 무역적자 조사가 끝나게 되며, 이후에 보편 관세 부과가 예상된다.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일지

'미국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일지'다. 보편 관세 부과가 예상된다.

자료: Google Image,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트럼프 ‘보편 관세 20%’, 유럽과 중국에 고율 관세, 한국 등은 일반 관세 부과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024년 대선 공약으로 주요 무역 대상국에 대해 공정한 교역, 그리고 ‘보편 관세 20%’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고율 관세 부과는 미국의 주요 무역적자 대상국이 해당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중국에 추가 관세, 멕시코, 캐나다에 고율 관세, 그 다음으로 독일 등 유럽 (EU), 아시아에서는 베트남, 일본, 한국, 대만 등이 해당될 수 있다.

 

트럼프 공약인 ‘보편 관세 20%’는 이미 언급된 멕시코, 캐나다에 25% 고율 관세, 추가로 유로 25%와 중국 추가 30%, 기타 국가에 10%씩 관세를 올릴 경우 미국의 평균 관세율은 20%에 도달한다.

미국의 주요 무역적자 대상 국가 및 규모 (2024.2q)

'미국'의 주요 '무역적자' 대상 국가와 그 규모를 정리한 그래프다. 십억달러 기준이며 1위는 중국, 홍콩은 247, 한국은 50이다.

자료: US Treasury (2024.9),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트럼프 공약, ‘보편적 관세’ 20% 부과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에는 미국 평균 관세율이 '1.49%'였지만 취임 후에는 보편적 관세를 '20%'를 부과함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자료: WB,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추정

한국의 수출 차질 불가피, 다만 우려보다 충격이 크지 않을 수 있어

당장 한국의 대미 수출에 차질이 예상된다. 한국의 대미 수출 규모는 2024년 1,228억 달러로 전체 수출의 18.6%를 차지한다. 이미 트럼프 대통령이 고율 관세를 부과한 철강, 철강제품, 알루미늄의 대미 수출금액은 49.2억 달러, 비중은 4.0% 수준이나, 자동차와 부품, 반도체 등에 고율 관세를 부과할 경우 대미 수출의 70% 가까이가 대상에 포함된다.

 

수출 가격을 유지하기 위해 물량을 감소시킬 경우 전체 수출은 약 3% 이상 감소할 수 있다. 다만, 무역협회 등에 분석한 관세 영향을 고려 (반사 이익 포함)하면 전체 수출 감소 폭은 1.9%로 크지 않다.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 및 비중 (억 달러)

'한국'의 대미 주요 '수출 품목' 및 비중을 정리한 표다.

자료: 무역협회 (KITA),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트럼프 2기 관세 조치 영향 분석 (국제무역통상연구원)

'트럼프 2기' '관세' 조치 영향을 분석한 표이다.

자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2025.2.10),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인용

2018년 경험, 결국 미국에 부메랑으로 돌아올 관세, 금리와 달러 상방을 제약

2018년 트럼프 1기에도 3월 9일 철강 및 알루미늄 수입에 관세를 부과했고, 6월에는 대중 수입품 500억 달러에 순차적으로 관세율을 올렸다. 달러는 2018년 6월, 대중국 관세 부과부터 상승하기 시작하여 연말까지 상승했다. 다만, 미국 장기 10년물 금리는 3월 이후 완만한 상승, 그 해 10월부터 하락했다. 미국 소비지출 둔화와 성장 약화, 연준의 금리인상 종결 기대 등에 기인한다.

 

최근 트럼프 관세 부과에도 미국 장기금리 횡보, 달러 혼조 등은 트럼프의 무역정책 불확실성, 이민 제한과 관세 부과 등이 미국 경제에 긍정적이지 않을 가능성 때문이다. 이를 감안하면 예고된 ‘관세 전쟁’과 무역정책 불확실성은 그 동안 달러/원 상승에 상당 부분 반영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2018년 트럼프 관세 부과 후 6개월 지나 금리 하락

2028년 트럼프 '관세 부과' 후 '6개월'이 지나 '금리'가 '하락'함을 보이는 그래프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본 자료는 경제 및 금융 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 자료이며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따라서 KB국민은행 이외의 독자 혹은 고객의 투자 상담이나 투자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고객의 최종적인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또한, 본 자료에서 제시된 어떠한 예측이나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 직원은 투자 권유 또는 투자 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 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문정희

KB국민은행 자본시장그룹 이코노미스트

매일, 매주, 매월, 분기별 환율 정보와 함께 국제외환시장을 분석하고 전망합니다.

문정희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