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전망] 무더위만큼 뜨거운 '다음 금리경로' 논쟁

2025.7.10 달러/원 환율 1,369~1,378원 전망
25.07.10
읽는시간 0

작게

보통

크게

0

목차

핵심 내용 요약

  • 달러/원 환율, 금통위 경계에 혼조, 향후 금리경로 힌트에 주목하며 등락
  • 글로벌 동향, 연준 분열 조짐 확인, 하지만 관세 불확실성에 달러 강보합
  • 마켓 이슈, 환율에는 단기 금리경로보다 중장기 경제 펀더멘털이 더욱 중요

달러/원 환율 동향

달러/원 환율, 금통위 경계에 혼조, 향후 금리경로 힌트에 주목하며 등락

전일 달러/원 환율은 트럼프 대통령의 품목별 관세 검토 등 글로벌 통상환경 불확실성 등에 상승 개장. 이후로도 외국인의 국내주식 순매도 등 원화 자산 약세가 이어지며 1,370원대 등락. 하지만 1,370원대 중반에서 출회되는 고점 매도 물량에 추가 상승 제약, 전일 종가 대비 7.1원 상승한 1,375.0원에 정규장 마감

야간장에서는 특별한 재료 없이 보합권에서 등락하며 1,375.2원에 마감. 역외 NDF 환율은 1.20원 하락한 1,371.30원에 최종 호가

금일 달러/원 환율은 간밤 달러 흐름과 역외거래를 감안해 1,375원 부근에서 보합권 개장 예상. 금일 예정된 한은 금통위에 대한 경계 심리에 다소 혼조세

하지만 환율은 이미 예상된 금리동결보다는 기자회견에서 나올 향후 금리경로 힌트에 더욱 주목하며 등락 예상. 그 외 연준 분열 조짐에 따른 달러 약세 압력에도, 관세 불확실성이 원화에 부정적. 금일 환율은 혼재된 대내외 상하방 재료에 뚜렷한 방향성 없이 등락할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금일 주요 환율 전망

전망: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자본시장영업부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달러/원 환율 주간 추이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동향

글로벌 동향, 연준 분열 조짐 확인, 하지만 관세 불확실성에 달러 강보합

전일 미 달러화는 연준 분열 조짐에도 트럼프 관세 경계가 이어지며 강보합 흐름. 주요 6개국 통화로 구성된 달러화 지수는 0.01% 상승한 97.50pt 기록. 새벽에 발표된 6월 FOMC 의사록에서는 연준 위원들 간 향후 금리경로에 대한 이견 포착. 의사록을 보면, 6월 FOMC의 최대 화두는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이었던 것으로 확인

다수의 위원은 점진적 인하 또는 연내 금리동결을 주장. 반면, 위원 2명은 관세의 인플레이션 영향이 일시적일 수 있다며 다음 회의에서의 인하 가능성 표출. 그동안 언론에 공개된 발언을 참고했을 때 해당 위원은 크리스토퍼 월러, 미셸 보우먼인 것으로 추정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를 통해 각국 정상들에게 보낸 상호관세 서한을 추가 게시. 8월 1일부터 브라질에 50% 상호관세 부과 통보, 이에 브라질 헤알화는 달러화 대비 2% 이상 절하. 그 외 필리핀 등 ASEAN 국가와 이라크 등 중동 일부 국가에도 서한 발송

주요 통화 전일 동향

주요 통화 전일 동향

마켓 이슈

마켓 이슈, 환율에는 단기 금리경로보다 중장기 경제 펀더멘털이 더욱 중요

금일 장중에는 한국은행의 금통위 결과가 발표, 기준금리는 2.50% 동결이 매우 유력. 이미 금리동결이 예상되고 있다는 점에서 이번 금통위의 금리결정이 달러/원 환율에 미칠 영향은 제한적

그보다 시장은 앞으로의 금리경로에 집중. 미국-한국의 금리차 및 달러/원 환율의 상관계수를 고려했을 때, 현재 환율에는 단기 금리차보다 중장기 금리차의 이론적 설명력이 더욱 강한 것으로 확인. 미-한 3개월 금리차와 달러/원의 상관계수는 -0.75, 단기 금리차의 이론적 설명력은 매우 빈약

반면 중장기 (2년 및 10년) 금리차 및 달러/원의 상관계수는 최근 들어 (+)로 전환, 특히 10년물 금리차의 환율 설명력이 빠르게 강해지는 흐름. 이는 현재 환율이 한미 중앙은행의 단기적인 금리경로보다 앞으로의 중장기 경로, 즉 한미 경제의 펀더멘털을 반영하기 시작했음을 시사. 따라서 향후 한국의 경기회복이나 미국의 고용둔화 여부 등에 더욱 주목할 필요

중장기 금리차와 달러/원 환율의 동조성 강화

24년 7월 부터 25년 7월 까지 3M '미한금리차'-달러/원 상관계수, 2Y미한금리차-달러/원 상관계수, 10Y미한금리차-달러/원 상관계수의 추이를 그래프로 정리했다.

자료: Bloomberg, KB국민은행 자본시장사업그룹

한 눈에 보는 환율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국내 외환 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국내 금융시장 및 시장별 수급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글로벌 주요 통화 동향

자료: 인포맥스

글로벌 증시, 채권금리, 원자재 시장 동향

글로벌 금융시장 동향

자료: 인포맥스

한국 및 미국 채권 금리 동향

한국과 미국 채권 금리 동향

자료: 인포맥스

IRS/CRS 및 Swap Point

IRS/CRS 및 Swap Point

자료: 인포맥스

주요 경제지표 일정

주요 경제지표 일정

자료: 인포맥스, Bloomberg 주: 예 (예상치), 전 (전기차) / ★은 지표 중요도 (개인 의견) / 지표 발표 시간은 한국 시간

본 자료는 경제 및 투자여건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정보제공 목적으로 작성, 배포되는 조사분석자료로서 오직 정보제공만을 목적으로 합니다. 본 자료의 내용은 어떠한 경우라도 금융투자상품의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또는 투자 판단 상담 자료, 고객의 투자 결과에 대한 법적 책임소재와 관련된 증빙 자료로 사용될 수 없으며 최종적 투자 결정은 고객의 판단 및 책임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합니다. 과거의 성과가 미래의 투자수익을 보장하지 않으며 본 자료에 서 제시된 어떠한 예상이나 예측 또는 전망도 실현된다는 보장은 없습니다. 당행직원은 투자권유 또는 투자관련 고객 상담 시 “자본시장과 금융투자업에 관한 법률” 및 당행 규정업무 프로세스를 준수할 의무가 있습니다. 또한 본 자 료의 지적 재산권은 KB국민은행에 있으므로 당행의 사전 서면 동의 없이 본 자료의 무단 배포 및 복제는 금지됩니다.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와 KB Think 글자가 함께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금융용어사전

KB금융그룹의 로고입니다. KB라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KB Think

이미지